사회일반

"누구도 배제 안 되는 강원형 응급의료체계 만들어야"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자치도, 응급실 체계가 응급하다 (하·完)
분리될 수 없는 의료와 돌봄…"지역 대응책 필요"

지난 13일 강원대병원 응급실을 방문했던 70대 고령자가 7시간 대기 끝에 숨진 사건이 알려지자 지역사회 곳곳에서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이어지고 있다. 고령층과 장애인 등 강원특별자치도에서 병원을 이용하는 집단의 특성을 고려, 지방정부와 의료기관이 협력해 '강원 맞춤형'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특히 전문가들은 주민들이 아플 때 필요한 돌봄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지 못한 지역사회와 주민들이 편하게 이용할 수 없는 의료 환경 모두가 문제라고 보고,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하고 나섰다.

/강원자치도, 응급실 체계가 응급하다/

(상)병원에도, 지역에도…응급 '컨트롤타워' 없었다

(중)장애인·고령층 배제하는 응급실

(하·完)"누구도 배제 안 되는 강원형 응급의료체계 만들어야"

관련기사

응급실서 7시간 대기하던 70대 숨져…과실 여부 조사

강원자치도내 곳곳에서 병원 이용이 어려운 환자들을 방문 진료하고 있는 김종희 강원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밝음의원·재택의료센터 원장은 "강원자치도 내에는 의료를 이용할 때 맞춤형 돌봄이 필요한 주민들이 다수 거주하고 있음에도 현재의 의료 환경은 의료 안에 환자를 돌볼 수 있는 장치가 없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주민들이 필요로 하는 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보다 나은 돌봄이 필요하지만 의료와 돌봄이 분리되며 주민들에게 필요한 의료조차 제공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의미다. 이어 "이번 강원대병원 응급실 사망 사건 역시 스스로 의사표현을 하기 어렵고, 돌봄을 받지 못하는 환자가 제도적으로 방치된 결과"라고 짚었다.

또, "코로나19 시기에도 의료와 돌봄이 분리되며 코로나19에 감염된 고령 환자들이 욕창이 생기는 경우가 있었고, 특히 어르신들은 아무런 돌봄이 없는 채로 입원하면 일주일 사이에도 근육이 모두 빠져 급격하게 쇠약해지는 경우가 있다"고 말하며, "우선 강원자치도와 각 시·군이 나서 지역 내에 주치의 제도 등 주민들이 일상에서 필요한 질환을 쉽게 치료받을 수 있는 제도를 시범 도입하고, 지역 응급실을 이용할 때도 진료 기록이 연계되도록 하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주민들이 아파도 병원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일을 방지하려면 의료와 돌봄이 유기적으로 연계되면서 증상 발생부터 귀가하는 모든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어 "의료 영역에 돌봄의 세심한 접근이 빠지면 그것은 고스란히 환자의 건강 악화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 2022년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던 시기 강원대병원 의료진이 코로나19에 감염된 환자를 돌보고 있다. 강원대병원은 강원지역의 책임의료기관으로 코로나19 전담병상 운영 등 지역사회에 꼭 필요한 공공의료를 제공해 왔으나 보다 나은 주민의 의료 이용을 위해서는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다. 사진=강원일보DB

응급상황에서 주민들이 필요한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일이 없도록 지방자치단체가 복지를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이화영 인권의학연구소장은 "자신의 의사를 잘 표현할 수 없는 사람들도 응급상황에서 병원을 잘 이용하기 위해서는 평소부터 지방정부가 나서 돌봄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고, 대형 병원에 환자들이 몰리지 않도록 주치의제도 등을 통해 의료전달 체계를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하고, "응급실은 위중한 환자부터 우선 진료를 하는 곳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 한계는 있겠으나, 주민들이 응급시에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복지서비스를 지방정부 차원에서 나서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병원 차원에서도 스스로 의사표현을 하기 어려운 주민들의 상황에 친화적인 문화를 만들고, 지자체와 병행해 노력하면 주민들이 의료 접근성으로 인해 건강이 악화되는 상황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강원특별자치도여성가족연구원의 허목화 박사는 올 초 강원자치도내 군지역 여성 독거노인들의 상당수가 아파도 병원에 가지 못하는 환경에 놓여 있다고 분석하고, 지역사회의 대책 마련을 촉구한 바 있다. 사진=강원특별자치도여성가족연구원.

전문가들은 이와 동시에 지역사회가 나서 그동안 평가절하됐던 돌봄의 가치를 높여야 해묵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허목화 강원특별자치도여성가족연구원 박사는 "지자체 차원에서 병원 동행 서비스는 지원하고 있더라도 아직까지 응급상황에서 어떻게 주민들을 지원할지에 대한 부분은 생각해내기 어려웠다"며 "왜 지속적으로 병원 이용에서 배제되거나 소외되는 집단이 생기는지 살펴보면 기반에는 그 중요성에 비해 평가절하되는 돌봄이 있고, 우선 돌봄이 시급한 주민들이 다수 거주하고 있는 강원자치도에서부터 어떻게 돌봄으로부터 배제되는 사람들이 나오지 않게 할지 고민해 나가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어 "이는 곧 어떻게 포용적인 의료기관, 포용적인 사회를 만들 것인지와도 연결되는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