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탄소 삼척 폐광산에 묻는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카본코 등 컨소시엄, 삼척시와 기술개발·실증 MOU
2027년까지 삼척 도계 마교리에 '포집 탄소 고체화 후 매립' 시범사업

【삼척】생산이 끝난 폐갱도를 이산화탄소 저장 시설로 전환하는 국책과제가 삼척시 도계읍 마교리 폐광산에 추진된다.

삼척시에 따르면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기술 전문 자회사인 카본코와 포스코홀딩스, 수처리 전문기업인 테크로스환경서비스, 한국광해광업공단 등은 컨소시엄을 구성, 지난 21일 삼척시와 '폐갱도를 활용한 이산화탄소 육상 저장 시범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국내 기업이 육상 탄소 저장소 개발사업에 뛰어든 것은 처음이다.

국책과제 추진을 위해 컨소시엄이 지난 7월 시범 사업기관으로 선정됐고, MOU 체결에 따라 올해부터 2027년까지 폐갱도를 이산화탄소 저장소로 활용하기 위한 기술개발과 실증을 진행한다. 사업 대상지역은 삼척시 도계읍 마교리 소재 대성 폐광산이며, 국비 등 총 67억6,000만원이 투입된다.

이 사업은 기체인 이산화탄소를 고체 형태로 바꿔 폐갱도에 매립하는 것이 골자다. 제철소 굴뚝에서 나오는 배기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슬래그(제철 과정에서 얻는 부산물)와 섞어 고체 덩어리로 만든 다음 폐갱도에 매립해 저장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컨소시엄은 2027년까지 하루 3톤의 이산화탄소를 모아 폐갱도 채움재 300톤을 생산할 계획이다.

카본코는 이산화탄소 육상 저장 기술을 검증하고 상용화를 위한 사업 모델을 검토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카본코는 2010년대부터 보령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연간 최대 8만t 포집해 저장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했고, 인도네시아에서도 국영 전력 회사와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해상 가스전에 저장하는 사업 모델을 개발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2억9,000만톤을 줄인다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세워 대용량 저장소 확보가 필수적이다.

관련 업계 전문가들은 현재 진행중인 동해 가스전 저장 실증사업이 성공한다 해도 2030년 이산화탄소 저장량은 연 120만톤에 불과해 폐갱도를 활용한 육상 저장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손꼽힌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