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세훈 서울시장은 16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주장한 '정년 연장'에 대해 "‘공정한 일터’가 선행되지 않은 정년 연장은 민주당 모 인사의 망언처럼 그렇지 않아도 어려운 청년들을 더욱 말라비틀어지게 만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오 시장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진짜 청년 정책은 ‘공정한 일터’를 만드는 것"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오 시장의 이같은 주장은 지난 서울서부지법 난동 사태와 관련해 이를 옹호하는 청년들을 고립시켜야 한다고 말했다가 논란이 일자 사퇴한 민주당 박구용 교육연수원장을 겨냥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그는 "통계청 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청년고용률이 4년 만에 최대폭으로 감소했고, 20대의 임금상승률 또한 전 연령대 중 가장 낮았다"며 "청년의 삶에서 양질의 일자리를 차지할 기회가 사라지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성장의 과실은 기성세대가 누리고, 막상 자신들은 만성적 저성장과 복지재정 부담에 짓눌리게 될 것이라는 청년들의 분노는 실로 타당하다"며 "청년들은 '공정한 경쟁과 합당한 보상'을 요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신입 직원과 장기 근속직원 간 임금 격차가 세계에서 가장 큰 나라다. 나이와 연차에 따라 임금을 정하는 연공급 체계는 정의롭지도 공정하지도 않다"며 직무급 및 성과급제 도입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 "그래야 기업이 부담 없이 청년 일자리를 늘리고, 청년도 자신의 역량을 자유롭게 발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직무급·성과급제 도입과 관련해 "무엇보다 의회 다수당인 민주당과 양대 노총의 태도가 중요하다"면서 "노동시장에서 세대 간 정의를 바로 세우는 일에 적극 동참해달라"고 촉구했다.
앞서, 오 시장은 지난 15일에도 이 대표가 "전 국민 25만 원 지역화폐를 포기할 테니 서둘러 추경하자고 할 때, 그 진심을 믿고 싶었던 국민들을 비웃기라도 하듯 민생회복 지원금을 소비 쿠폰으로 이름만 바꿔서 다시 들고나왔다"면서 "모든 것이 자신의 생존에 맞춰진 이재명의 ‘국민 기만 경제’다. 이제 경제라는 말의 화장술도 더 이상 국민에게 통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연일 이 대표 경제정책들을 비판하며 여권 잠룡으로써의 존재감을 과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