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의 오랜 반대와 갈등 끝에 동해안~신가평 송전선로 건설에 대한 합의가 이뤄졌다. 한국전력은 지난 11일 동해안~동서울 초고압직류송전방식(HVDC) 송전선로가 통과하는 79개 마을의 전 구간에서 주민 합의를 100%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그간의 진통을 뒤로하고 이제 사업은 본격적으로 속도를 낼 수 있게 되었지만 여전히 풀어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 동해안~신가평 송전선로 사업은 국내 최대 규모의 HVDC를 구축하는 국책 프로젝트다. 이 사업은 원전 등 동해안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수도권으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송전하려는 중요한 목적을 지닌다. 특히 이를 통해 동해안 지역에서 발전된 전력 500kV를 수도권으로 안정적으로 수송할 수 있다. 이것은 국가 에너지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고, 수도권 전력 수요를 충족시키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사업이 진행되기까지의 여정은 순탄하지 않았다.
2010년 사업 착수 이후 13년간의 긴 입지 선정과 주민 반대, 지방자치단체의 갈등 등으로 여러 차례 난관에 봉착했다. 특히 강원도 내 영월, 정선, 평창, 횡성, 홍천 등 5개 군 지역에서는 주민 반대가 강하게 일어났다. 이들은 송전선로가 통과하는 지역의 주민이 전기 수혜를 받지 못한다는 이유로 사업에 반대했으나 국익을 고려해 대승적인 합의에 도달했다. 이러한 협력이 가능했던 것은 각 지역 주민의 국익에 대한 깊은 이해와 지역 간 협력 정신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사업은 완전히 순조롭지 않다. 동서울변환소 증설에 대한 주민 반대가 여전히 사업 진행의 발목을 잡고 있다. 한전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든 역량을 발휘해야 한다. 이번 송전선로 건설 합의는 국익을 우선시한 주민 협조 덕분에 이루어졌지만, 그 과정에서 우리는 몇 가지 중대한 교훈을 얻을 수 있다.
우선 국가적인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지역 주민의 협조가 필수적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정부와 기업은 이러한 사업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고, 상호 이해와 협력을 이끌어내야 한다. 그리고 송전선로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사업의 전반적인 계획과 함께 지역 특성에 맞는 해결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안 된다. 결국 동해안~신가평 송전선로 사업은 국가 에너지 정책과 지역 협력이 결합된 중요한 사례로 남을 것이다. 한전과 정부는 주민 우려를 해소하고, 사업을 적기에 완공하기 위해 더욱 투명하고 적극적인 소통을 해 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