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북 정책은 유권자들이 관심있게 보는 정책이슈 중 하나다. 특히 접경지역이 광범위하게 펼쳐져 있는 강원도의 경우 각 주자들이 어떤 기조를 취하느냐에 따라 표심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6·3대선 후보들은 북핵 문제의 심각성에 공감하면서도 구체적인 해결 방향에 대해서는 엇갈린 입장을 내놨다.
■ 이재명 "한반도 비핵화로 평화 분위기" 文정부 계승=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 완화를 추구한다. 한반도 비핵화를 목표로 평화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초점을 맞춰 큰 틀에서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과 닮은꼴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이 후보는 9.19 군사합의 복원, 대북전단과 오물풍선, 대북·대남 방송 상호 중단, 남북군사공동위원회 구성 및 소통 채널을 복원 등을 공약으로 제시했다. 또 강원 등 접경지역은 '평화경제특구'로 지정, 남북 교류 관문으로서 인프라를 확충하고, 산업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 김문수 "북핵 억제력 강화···대북지원은 인도적 사업만"=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북핵 문제에 대해 좀 더 강경한 입장이다. '북핵을 이기는 힘, 튼튼한 국가 안보'를 슬로건으로 제시하면서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전술핵 재배치 및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식 핵 공유를 검토하고, 북한의 탄도미사일 핵 잠수함 개발에 대응해 우리도 핵 추진 잠수함을 개발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미국 전략자산 상시 주둔, 한미 핵·재래식 통합(CNI) 훈련 내실화 등을 제시했다. 대북 지원은 전염병 예방 등 인도적 사업에 국한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 이준석 "통일부 폐지해 외교부로···핵무력 가질 잠재력은 확보해야"=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한반도 긴장을 높이는 핵 무장은 당장은 어렵다고 판단했다. 다만 잠재적으로 핵추진 잠수함 개발은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이와함께 남북정상회담의 가능성을 열어놨다. 조건없이 북한과 대화해 해결책을 찾겠다는 의미로 읽힌다.
또 '대통령 힘 빼고 일 잘하는 정부 만든다'는 기조 아래 통일부를 폐지하고, 이를 외교부로 통합하는 '외교통일부'를 신설하겠다고 밝혔다. 안보부총리 직을 신설하는 '3부총리제'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