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지역 건설현장에서 또다시 사망사고가 발생, 정치권과 노동자들이 대안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경찰과 소방당국에 따르면 지난 16일 오후 2시6분께 강릉시 내곡동의 한 상가 건축현장에서 사다리에 올라 작업하던 60대 A씨가 3m 아래로 추락했다. 이 사고로 크게 다친 A씨가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끝내 숨졌다.
이처럼 소규모 건설현장에서도 추락, 끼임, 부딪힘, 깔림 등의 각종 사고로 근로자들이 숨지고 있다. 지난달 30일 오후 5시19분게 평창 봉평면 원길리의 주택 마당에서는 B(72)씨가 지게차 포크 사이에 끼는 사고로 숨졌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강원지역 중대재해 사망자(잠정통계+확정통계) 수는 2022년 34명, 2023년 27명, 2024년 27명 등 88명으로 집계됐다. 2025년 1분기 산업재해 현황에 따르면 올해 1월~3월 강원지역 사망자는 총 6명이었다. 전국의 사망자 수는 총 137명이며 사고 유형별로 ‘떨어짐’이 62명(45.3%)으로 가장 많았다. ‘물체에 맞음’ 16명(11.7%), ‘깔림·뒤집힘’ 13명(9.5%), ‘끼임’ 11명(8.0%), ‘부딪힘’ 11명(8.0%) 등이 뒤를 이었다.
고용노동부는 건설 현장 감독·점검을 집중 실시하고 건설사 간담회 등을 통해 안전 투자와 자체 안전점검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실효성은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민주노총 건설노조 강원본부 관계자는 “적정 공사비를 통한 자체 안전시설 설치를 확대하고 정부가 적극적으로, 그리고 수시로 안전점검을 실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치권도 정부의 시스템 개선을 촉구했다. 민주노동당 강원도당은 최근 강릉 내곡동 건설현장 사망사고와 관련해 성명을 내고 “안전망이나 난간만 제대로 설치했더라면 막을 수 있었던 참사”라며 “중대재해처벌법은 형식적으로만 존재할 뿐 실질적인 사업주는 책임을 묻지 않고 있다. 이윤을 위해 노동자의 생명을 희생시키는 잔인한 시스템은 반드시 바꿔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