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송전 제약으로 영동지역 발전사들의 경영 위기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삼척상공회의소가 동서울변전소 인허가가 조속히 승인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삼척상공회의소가 대표 발의하고 강원특별자치도상공회의소 협의회가 촉구한 건의서에 따르면 280Km에 이르는 경북 울진~수도권간 초고압직류(HVDC) 송전망 건설사업이 송전선로 경과지 79개 마을과 협의가 완료됐지만, 최종 종착지인 경기도 하남시 동서울변전소의 인허가가 지연돼 있다.
이 때문에 삼척 등 영동지역 발전사들이 송전망 부족으로 정상적인 전력생산이 불가능한 데다, 발전기 이용률이 고작 10~20% 수준에 머물러 사실상 운영 불능상태에 처해 있다.
이러한 실상이 지속되면서 발전소의 파산위기와 협력업체 연쇄 도산, 일자리 상실, 지역경제 붕괴 등을 초래할 우려가 커지자, 시민들 사이에서는 대승적 차원에서 국가정책에 협조를 한 지역이 국가 전력망 정책의 한계로 심각한 피해를 입고 있는 지역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실망감이 커지고 있다.
강원특별자치도상공회의소 협의회는 2일 “하남시가 수도권내 데이터센터 등 첨단산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고 있고, 막대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권한과 책임을 감안할 때, 국가 전력망 확충이라는 공공적 과제에 협조하는 것이 사회적 책무”라는 내용의 건의서를 대통령 비서실과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련 부처에 보냈다.
정희수 삼척상공회의소 회장은 “2019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됐던 HVDC 송전선로 사업이 6년째 지연되고 있고, 삼척·동해·강릉에 건설된 민간 석탄화력발전소가 사실상 전면 가동 중단상태에 처해 있다”며 “지역경제 피해 확산을 최소화 하기 위해 특단의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