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주】정부가 16년만에 첨단의료복합단지(첨복단지)를 추가지정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원주시가 유치 실패의 아픔을 딛고 재유치전에 뛰어들었다.
시는 재정부 국정과제로 첨복단지 조성을 제안한 데 이어 유치 재도전을 선언하면서 관련 연구용역에 착수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연구용역은 첨복단지 지정의 필요성과 타당성, 추진 전략 수립을 위한 논리적 근거 마련을 위해 추진된다. 원주 첨복단지로서 특화될 핵심기능과 시설 설정, 바이오메디컬사업 인프라 구축 등 세부 실행계획을 모색한다. 첨단의료사업진흥재단 설립과 재원 조달 방안, 입지 타당성 분석에도 나선다.
시는 이번 용역 수행을 통해 대구·경북(합성신약·IT형 의료기기)과 충북 오송(바이오신약·IT형 의료기기) 등 기존 첨복단지와의 '차별성'을 확보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원주가 그동안 민관협력으로 쌓아온 디지털헬스케어 자산을 적극 살려 디지털융복합의료와 DT(디지털 기술)형 의료기기 산업 핵심거점임을 알린다는 복안이다.
또 첨복단지 유치전에 뛰어든 인천 송도(차세대 항체의약품 등 백신 연구개발단지 조성)와 광주·전남(면역·디지털 기반 첨단바이오신약 개발 등) 등 타 자치단체와의 비교우위를 찾고자 한다.

원강수 시장은 "원주는 30년 가까이 대학과 지자체, 대형병원 등이 협력해 디지털 기반 바이오헬스산업의 방향성을 꾸준히 이어왔다"며 "새로운 성장동력인 AI반도체를 기반으로 경쟁력을 더욱 갖춰 원주가 최적지임을 적극 알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보건복지부가 주도하는 '첨단의료복합단지 진단과 성과평가, 추가지정 필요성 연구용역'을 토대로 '제5차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2009년 대구·경북과 충북 오송이 지정된 후 현재까지 추가 조성계획이 나오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