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 미분양 주택 매입에 나서면서 유동성에 어려움을 겪던 강원도 내 건설사들에 단비가 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국토교통부 5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강원도내 미분양 주택은 3,738가구다. 주택 매매가 활발했던 2021년 말(1,648가구)보다 두 배 이상 수준이다. '악성'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도 711가구로 집계됐다.
이같은 미분양 주택 매입을 위한 제2차 추가경정예산안이 지난 4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2028년까지 준공 전 지방 미분양 주택 1만가구를 환매 조건부로 매입하는 데 2,500억원을 투입한다.
환매조건부 매입이란 공공기관이 준공 전 미분양 주택을 분양가보다 낮은 가격에 사들이고, 준공 후 일정 기간 내에 매입가격에 최소 실비용(이자)을 붙여 건설사가 환매하는 방식이다.
대상은 공정률 50% 이상이며 분양 보증에 가입한 지방 아파트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분양가의 50%로 사들인 뒤 준공 후 1년 안에 매입가격에 최소 실비용(조달비용)을 더해 건설사가 환매하게 된다.
예를 들어 분양가 4억원의 지방 미분양 단지를 HUG가 2억원의 매입한다. 이후 시공사가 할인 분양 등을 통해 매물을 3억원에 팔 수 있게 되면 매입가격에 이자 비용을 더한 금액으로 되산 후 분양해 1억원을 수익으로 얻는 방식이다. 건설사가 분양가의 50% 이상으로 살 매수자를 구하지 못하면 주택의 소유권은 HUG로 넘어간다.
최상순 대한건설협회 강원특별자치도회장은 “정부의 정책이 벼랑 끝에 내몰려 있는 지역 건설사의 재기를 도와 줄 수 있는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시장의 반응을 반영해 정책을 유동적으로 확대 및 축소 할 수 있는 유연함도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