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이 주관하는 ‘강원학생성장진단평가’가 지난 2일 도내 344개 초등학교에서 일제히 시행됐다. 오는 9일에는 중학교까지 확대 실시된다. 참여 학교는 전체의 96.65%, 학생은 86.61%에 달해 제도 도입 3년 만에 높은 정착률을 보이고 있다. 2022년 첫 시행 당시 60.6%에 머물던 참여율이 올해 들어 전년보다 학교 기준 3.93%포인트, 학생 기준 9.3%포인트 증가한 것은 긍정적이다. 이는 교육 현장에서 개별 맞춤형 학습 지원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음을 방증하는 대목이다. 또한 정서적 요소까지 포괄하는 통합 평가 모델이라는 점에서 학생 개개인의 전인적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셈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러한 평가가 실질적인 학력 제고라는 본래 목표에 얼마나 가까워지고 있느냐에 있다. 현재 문항이 모두 객관식으로 구성되고, 진단 후 피드백보다는 점수 중심 결과에 집중되는 구조 속에서 학생들의 학습 격차 해소라는 본래 취지를 제대로 살리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다. 특히 진단 이후 학력 변화 추이를 파악하기 위해 별도로 실시되던 ‘강원학생향상도평가’가 올해는 생략됐다.
물론 도교육청은 향상도평가가 유사한 다른 평가와 중복된다는 현장의 의견에 따라 올해 재구조화를 추진하고, 다른 방식으로 학력 향상 여부를 진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심리·정서 영역 진단 결과를 학부모 연수와 연계해 학생 지원체계를 보완하겠다는 방침도 세웠다. 이러한 취지는 바람직하나, 구체적인 학업 피드백 체계와 개별 학습 처방이 실제로 작동하고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 근거와 현장의 체감도는 여전히 부족하다. 진단 자체는 출발점일 뿐이다. 정작 중요한 것은 진단 이후다. 학생 개개인의 학습 수준과 심리 상태에 기반한 맞춤형 학습 계획 수립, 수업 방식의 차별화, 교사의 지도 역량 강화가 병행돼야 진단의 실효성이 담보된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교육 현장에서는 학습 격차가 심화 되었고, 이는 단순한 점수 평가로는 포착할 수 없는 복합적인 문제다. 따라서 진단과 처방, 실행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정착시키는 것이 시급하다.
강원자치도는 지리적 특성상 도시와 농산어촌 간 교육 자원의 격차가 존재하며, 이에 따라 학생 개별 맞춤형 교육의 필요성이 더욱 크다. 학력 진단은 이러한 지역 간 불균형 해소의 도구로도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평가 그 자체가 아니라 평가 이후의 구체적인 지원 방안과 정책적 실행력을 통해 비로소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