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B/C만으로는 못 온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특별기획-지도에는 있지만, 땅 위엔 없다]
강원을 위한 교통 인프라 평가와 정책의 재설계 필요

강원특별자치도의 교통망 확충이 장기 지연되고 있는 주요 원인은 수도권 중심의 경제성(B/C) 평가 구조에 있다. 인구밀도가 낮고 산악지형이 많은 강원도는 구조적으로 낮은 수익성을 피하기 어렵다. 현행 예비타당성조사(예타) 체계의 근본적인 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이유다.

■ B/C 구조, 지방엔 절대 불리한 공식= 강원 내륙축의 주요 고속도로 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 오랜 기간 정체돼 있다. 영월~삼척 고속도로는 수십 년 만에 예타를 통과했지만 착공은 요원하다. 영월~양구 내륙고속도로, 포천~철원 고속도로는 여전히 사전타당성조사 수준에 머물러 있다. 강원도는 산악 지형에 적은 교통량, 긴 도시간 거리에 따라 구조적으로 수익성이 낮아 현행 예타에서는 비용 편익(B/C) 수치가 불리할 수밖에 없다. 이에 강원도는 △국가안보 기여도 △국가균형발전 효과 △특별희생지역 가중치 도입 등 비계량 항목의 확대 반영을 요구하고 있다.

■ 전략축 없는 SOC, 실효성 낮다= 강원도의 교통망은 단일 노선 중심으로 계획돼 있어, 인접 지자체나 산업단지 간 연계성이 떨어진다. 특히 폐광지와 접경지역은 각각 다른 특성을 지닌 지역임에도 동일한 ‘경제성 평가’ 잣대로 사업성이 결정된다. 실제로 포천~철원 고속도로는 응급이송, 군사 작전, 물류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전략도로로, 단순 B/C 평가로는 기능을 온전히 설명하기 어렵다. 기존 접근법으로는 복합 기능을 가진 지방 교통망을 설계하고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다.

■ 단기·중기·미래 전략 병행돼야= 정책 대안으로는 단기적으로 포천~철원, 제천~평창 구간의 조속한 예타 통과, 중기적으로는 영월~양구, 제천~삼척 등 국가계획 반영, 장기적으로는 교통망과 관광·물류·산업단지를 결합한 복합개발 전략이 요구된다. 자율주행, 드론물류, UAM(도심항공교통) 등 미래 교통산업 실증 지역으로서 강원도의 가능성을 활용한 교통망 설계도 필요하다. 강원도는 낮은 교통량, 험준한 지형, 다양한 도시 조건을 갖춰 미래 교통기술의 실증 환경으로는 최적이라는 평가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