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지역의 1인 가구 고령화 속도가 예상을 뛰어넘고 있다. 지난해 도내 1인 가구 수는 27만1,097가구에 이르렀고, 이 중 65세 이상 고령 가구는 9만1,601가구로 전체의 33.8%를 차지한다. 불과 1년 사이에 6,000여 가구가 급증한 수치로, 이는 전국 평균을 웃도는 수준이며 독거노인 비율 또한 13.9%로 전국 4위에 해당한다.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2052년에는 고령 1인 가구 비중이 60%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문제는 고령화 현상이 단순한 인구통계적 변화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으로 고립된 노인들의 고독사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2023년 도내에서 고독사로 사망한 이들의 수는 156명으로, 전년보다 6.8% 늘어났다. 5년간(2019~2023년) 연평균 증가율이 11.2%라는 점은 경각심을 갖게 한다. 특히 고독사 사망자 중 60대 비중이 가장 크고, 절반 가까이가 기초생활보장수급자인 것은 경제적 취약성이 고립과 사망의 주요 배경임을 방증한다.
도내 일부 지자체들은 고독사 예방을 위한 복지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안부 확인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이러한 조치만으로는 한계가 뚜렷하다. 1인 고령 가구의 증가가 구조적인 흐름인 이상, 이에 대응하는 복지 시스템 역시 일시적 대책이 아닌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전환이 요구된다. 무엇보다도 행정 중심의 일방적 보호 방식에서 벗어나 지역공동체와 주민이 함께 돌봄의 주체가 되는 사회적 연대 기반이 마련돼야 한다. 우선 마을 단위의 생활밀착형 복지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독거노인 안부 확인 서비스나 응급 알림 시스템 같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비대면 안전망 강화도 필요하지만, 결국 사람과 사람 간의 연결이 단절을 막는 본질적 해법이다. 주민, 사회단체, 자원봉사 조직 등이 연계된 마을 돌봄 네트워크를 적극 육성해야 한다. 이는 고령층의 자립과 생활 만족도를 올리는 동시에 고독사의 위험도 줄일 수 있다.
또한 1인 고령 가구의 증가가 곧 주거 문제로 이어질 수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공공임대주택 내 커뮤니티 케어 기능을 보완하고, 고령층 맞춤형 주거복지정책을 통해 생활공간 내에서의 돌봄과 의료 접근성을 제고해야 한다. 노인들의 사회적 관계망 회복을 위한 커뮤니티 센터, 일자리 연계 사업도 적극 발굴해야 할 때다. 특히 정서적 안정과 소속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이 병행돼야 고립감 해소에 실효를 거둘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정책의 실효성과 지속 가능성이다. 예산 확보와 행정 인력의 전문화도 이뤄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