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강릉시 가뭄에 재난사태 선포, 그 이후가 중요

전국적으로 유사한 상황 예방하는 신호
기부와 정부 차원 지원 통해 생수 공급 확대
대체 수원지 활용 등 근본 대책 수립해야

2025년 8월30일. 이재명 대통령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에 대한 즉각적인 재난사태 선포를 지시했다. 이는 강릉에서 발생한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생활용수 공급에 심각한 차질이 빚어진 상황에서 내려진 결정이다. 이 대통령은 이날 강릉시청에서 열린 가뭄 대책회의에서 정부의 총력 대응을 선언하며, 모든 자원을 동원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했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단기적인 대처를 넘어 강릉과 같은 지역의 물 부족 문제를 타개하기 위한 장기적인 대응책이 절실히 요구된다.

강릉은 최근 6개월 동안 강수량이 평년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고, 주요 수원지인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은 역대 최저치인 14.9%(8월31일 기준)에 달했다. 강릉시는 지난달 20일부터 물 부족 해결을 위한 제한급수에 돌입했으며, 이 사태가 더욱 악화되면 75%까지 잠금 비율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런 절박한 현실을 고려해 정부는 소방 탱크 차량 50대를 투입, 하루 약 2,000톤의 물을 추가 공급할 예정이다.

재난사태 선포는 단순히 위기 상황에 대한 정부의 신속한 대응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전국적으로 유사한 상황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신호를 보내는 조치다. 이 대통령은 회의에서 전국 지자체가 협력해 물 공급을 지원하라고 당부했고, 급수차량을 군과 소방부대의 자원을 활용해 동원할 계획을 명시했다. 또한 생수 공급을 위한 협조를 요청하며 기부와 정부 차원의 지원을 통한 생수 공급 확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이번 가뭄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재난사태 선포 이후의 대응이 더욱 막중하다. 단기적인 물 공급 대책뿐만 아니라 강릉과 같은 물 부족 지역의 장기적인 물 공급망 확보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다른 수원지와의 연결을 통해 물 공급망을 강화하는 방안이 검토돼야 한다. 즉, 연곡저수지와 같은 대체 수원지를 이용해 추가적인 물 공급을 할 수 있는 대책을 수립해야 할 때다. 장기적으로는 해수 담수화 시설과 같은 혁신적인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동해안의 해저 심층수는 수질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를 담수화해 물 공급에 사용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담수화 시설의 구축 비용과 유지관리 문제는 풀어야 할 과제다. 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그렇기에 강릉의 물 부족은 지역적인 문제에 그쳐서는 안 된다. 이는 전국적으로 재발할 수 있는 사안이며, 강릉의 사례를 통해 다른 지역의 물 부족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대비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예컨대 전국적으로 기후 변화에 따라 물 부족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각 지역의 물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필요시 서로 협력할 수 있는 시스템을 조성해야 한다. 따라서 정부는 재난사태 선포 이후에도 물 자원의 관리 체계 구축, 대체 수원지 개발, 담수화 시설 확충 등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