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을 지원하기 위해 내년에 1조1,500억원을 편성했다.
기후위기에 따른 재난피해 최소화를 위해 재해 정비사업비를 1조488억원으로 확대 편성하고, 재난 피해주민의 일상회복을 위한 피해복구비로도 6,500억원 늘어난 1조100억원을 배정했다.
재해 정비사업비와 피해복구비 연간 예산(본예산 기준)이 각 1조원을 넘기는것은 내년이 처음이다.
행정안전부는 이같은 사업계획을 담아 76조4,426억원 규모의 2026년도 예산안을 편성했다고 2일 밝혔다.
내년도 예산안 중 사업비 규모는 올해 본예산 대비 43.8%인 2조303억원 늘어난 6조6,665억원이다.
예산안 중 가장 많은 부분인 지방교부세는 69조3,459억원, 인건비 및 기본경비는 4,302억원이다.
'이재명표' 예산인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 발행 국비지원에 1조1,500억원을 투입한다. 올해보다 1,500억원 늘어난 규모다.
지방소멸대응기금은 올해와 마찬가지로 1조원을 편성했다.
다만 기금을 기존처럼 시설에 투자하기보다는 지방소멸 극복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사업에 투입해 소득·일자리 창출에 나선다.
심각해지는 이상기후에 대응하기 위해 AI를 적극 활용한다.
재난안전 드론 상황실 구축 등에 신규로 34억원을 편성하고, 국민안전산업펀드 조성에 50억원을 배정했다.
이 펀드는 성장 잠재력은 높으나 자금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첨단기술 기반 국민안전기업의 성장 촉진을 위해 활용된다. 전체 펀드 최초 규모는 경찰청 50억원, 민간·지자체 100억원을 합한 200억원이다.
내년도 재해위험지역 정비사업비용도 올해보다 1,045억원 증가한 1조488억원을 편성했다.
재난피해 주민의 조속한 일상 복귀를 돕기 위해 내년도 재난대책비로 올해 본예산 대비 6,500억원 늘어난 1조100억원을 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