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시가 지역사회와 함께 사회연대경제를 중심으로 기본사회 실현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사회적경제 주체들과 시민들이 한자리에 모여 정부 정책에 발맞춘 지역 맞춤형 대응 전략을 논의하며 협력의 필요성에 공감했다.
시는 지난 16일 커먼즈필드춘천 안녕하우스에서 ‘춘천시 사회적경제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은 지역 내 사회적경제조직 관계자, 학계 전문가, 시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새정부 국정과제인 ‘기본사회 실현’에 대한 지역의 실질적 역할을 고민하는 시간으로 채워졌다.
기조강연에 나선 장종익 한신대학교 교수(전 국정기획위원회 기획위원)는 ‘정부의 기본사회 실현과 사회연대경제 성장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장 교수는 “기본사회는 국민 누구나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돌봄, 주거, 에너지, 문화 등의 기본권을 보장하는 사회를 말한다”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선 중앙정부 정책과 연계되는 지역 중심의 협력 모델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사회적경제는 이러한 모델을 실현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수단”이라고 덧붙였다.
포럼은 이어 세 가지 분과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돌봄·문화 기본사회 분과에서는 고령화와 청년 돌봄의 해법으로 지역 커뮤니티 기반 서비스의 중요성이 제기됐고, 농촌·에너지 기본사회 분과에서는 자립형 마을에너지 시스템 구축 사례가 주목을 받았다. 주거·금융 기본사회 분과에서는 협동조합형 임대주택과 서민금융 지원 모델이 소개돼, 지역 실정에 맞춘 적용 가능성이 집중 논의됐다.
시 관계자는 “이번 포럼은 단순한 담론을 넘어 실제 실행 가능한 정책을 도출하는 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도 시민과 함께 기본사회 실현을 위한 다양한 협력 구조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