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지역과 대학, 공동체로 나아갈 때 지역이 발전

지방소멸이라는 현실적 위기 앞에서 지역과 대학의 상생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이런 가운데 강원대와 강원일보가 공동 주최한 ‘2025 강원RISE 상생발전포럼’이 지난 24일 강원대 춘천캠퍼스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는 학계, 지자체, 혁신기관 등 다양한 주체들이 모여 지역과 대학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모색하는 진지한 논의가 이뤄졌다. 이번 포럼은 단순한 이벤트를 벗어나, 강원특별자치도의 미래 성장 동력을 본격적으로 발굴하고 체계화하는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사회와 밀착한 교육·연구, 그리고 산업 연계가 이뤄질 때만이 인구 감소, 청년 유출, 산업 공동화 같은 지역의 구조적 문제를 돌파할 수 있다.

그 중심에 지역의 대학이 서야 한다. 이제 대학은 지역의 인재를 키우는 기관을 넘어, 지역 혁신을 견인하는 앵커로 자리매김해야 한다. 지역이 무너지면 수도권도 무너지고, 결국 국가경쟁력도 하락한다. 지역의 지속 가능성이 곧 국가의 지속 가능성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RISE(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사업은 단순한 교육 정책이 아닌 국가 전략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 강원특별자치도는 타 시·도에 비해 지역 대학 의존도가 크고, 동시에 청년 인구 유출과 고령화 속도가 빠른 지역이다. 이에 따라 강원RISE의 성공 여부는 사업 성과에 머무르지 않고, 도의 존립 기반을 결정짓는 문제로 확대된다. 이런 측면에서 ‘공유’와 ‘특성화’는 중요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대학의 자원을 지역과 나누고, 각 대학의 특성을 살려 차별화된 전략을 세움으로써 지역의 위기를 기회로 전환해야 한다. 이번 포럼의 핵심은 ‘협력’이다. 대학과 지자체, 공공기관이 각자의 이해관계를 내려놓고 공동의 목표를 향해 협력하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절실하다.

그간 지역 발전과 대학 혁신은 각기 다른 궤도에서 움직여 왔다. 그러나 이제는 두 궤도가 하나로 합쳐져야 한다. 이는 단기간에 완성될 수 있는 과제가 아니다. 장기적 비전과 안정적인 제도 설계, 예측 가능한 예산 지원, 지역 맞춤형 정책 수립이 병행돼야만 실질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협력의 구심점이 될 수 있는 컨트롤타워 구축도 요구된다. 현재 RISE 체계는 여러 주체가 참여하고 있기에 정책 조정이나 사업 실행에 있어 중복과 혼선이 발생할 수 있다. 강원RISE센터를 중심으로 이를 조정·통합할 수 있는 체계적 거버넌스를 마련하고, 각 참여 대학과 지자체가 상호 신뢰 속에서 역할을 분담하는 구조를 확립해야 한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