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내 학교 급식실 노동자 2,200여명이 차별적 임금 격차 해소를 위해 총파업에 나섰다.
강원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28일 강원도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국 10만 조합원들이 합법적인 절차에 따라 쟁의행위 찬반 투표를 진행한 결과 91.8% 압도적 찬성률로 총파업을 결의했다"고 밝혔다. 강원권 투표율은 87%로 전국 평균(81.4%)을 웃돌고, 찬성률도 92.36%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학교 급식실 노동자들은 1차 11월 20~21일, 2차 12월 4~5일 총파업에 나서면서 일부 학교에서는 정상적인 급식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총파업을 결정한 이유는 집단 임금교섭 결렬이다. 올 8월부터 교육부 및 17개 시·도교육청과의 임금교섭을 시작, 총 7차례 절차교섭을 진행했지만 노사간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았다. 이에 중앙노동위원회 조정이 지난27일까지 두차례 진행됐지만 합의가 안됐다.
이들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특별한 혜택이 아닌 최소한 기본은 보장하라는 것"이라며 "최저임금에도 미치지 못하는 기본급, 그 기본급마저 끊기는 방학중 무임금을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원도교육청 자료에 따르면 강원 학교 급식실의 산업재해 발생률은 증가 추세다. 2024년 한 해에만 조리 관련 직군에서 81건의 산재가 발생, 2022년(49건)과 비교하면 3년 새 65% 증가했다.
인력 부족으로 급식 조리원들의 산재 발생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진보당 정혜경 국회의원실에 따르면 2024년 하반기 강원지역 학교급식실 조리실무사 11명 신규 채용이 전원 미달됐고, 올 상반기 정기채용 총 모집인원 140명 중 21.4%의 높은 미달률을 보였다. 이같이 신규 직원 모집도 어려운 데 더해 퇴직자 중 자발적 퇴사인 '의원면직' 비율도 증가하고 있다. 강원권 조리실무사 퇴직자 중 의원면직 비율은 2022년 57%, 2023년 59%, 2024년 63%로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신규 채용 미달 및 자발적 퇴직 사유로는 열악한 처우가 꼽힌다.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국회의원실이 배포한 자료에 따르면 강원도내 조리실무사는 근로 기간 중 월 290여 만원을 급여로 받지만 방학 중에는 72만원을 받으면서 학기 중 대비 소득이 최대 77%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강원특별자치도교육감 소속 무기계약직종 노동자 5,452명 중 영양사, 조리사, 조리실무사 등 급식 관련 노동자는 올 3월 기준 2,254명으로 전체의 41%를 차지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