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가 2045년 기후위기 대응의 갈림길에 섰다.” 강원일보 AI미디어랩이 28일 발표한 ‘2045 강원특별자치도 미래보고서-기후위기편’은 20년 후 강원도의 기후가 어떻게 달라질지를 두 가지 시나리오로 가정하고 있다. 하나는 지금처럼 온실가스 감축 노력이 지지부진한 상태에서 기후 대응에 실패하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과감하고 선제적인 대응을 통해 탄소중립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는 경우다. 두 시나리오는 숫자와 그래프를 넘어, 실질적인 삶의 풍경까지 극적으로 달라지는 미래를 예고하고 있다.
기후 대응에 실패한 경우(시나리오A:방치된 미래), 강원도의 연평균 기온은 현재보다 2.5도 이상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 기온 상승은 단순한 날씨 변화가 아니라, 지역의 생태계와 경제 구조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겨울철 적설일수는 절반 이하로 줄어 설경은 더 이상 강원의 일상을 구성하는 풍경이 아니게 된다. 평창, 정선 등 겨울 관광지의 스키장 운영일수도 대폭 줄어들며, 지역 경제는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여름은 훨씬 더 혹독해진다. 2045년이 되면 연간 폭염일수가 40일을 훌쩍 넘고, 열대야도 두 달 가까이 지속되는 기후 패턴이 일반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고온에 취약한 노약자들이 많은 농촌 지역에서는 폭염이 일상적 건강 위협이 되고, 냉방 비용 증가와 농작물 피해 등으로 경제적 부담도 커진다.
반면, 적극적인 탄소 감축과 생태계 회복 정책이 실현된 경우(시나리오 B:전환된 미래), 2045년 강원도는 전혀 다른 모습을 지닌다. 연평균 기온 상승 폭은 1.2도 이내로 억제되며, 겨울철 적설은 유지되고 스키장 가동일수도 현 수준을 가까스로 방어할 수 있다. 여름철 고온 현상도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유지되며, 도시숲 조성과 냉방 인프라 확충, 열섬 저감 기술 도입 등으로 고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해양의 변화도 제어 가능하다. 탄소 흡수원이 되는 해양 보호구역을 확대하고, 어족 자원을 회복시키기 위한 생태계 복원 프로젝트가 추진되면, 기존 어종의 일부는 회귀할 수 있고 수산업도 지속 가능성을 회복할 수 있다.
결국, 두 시나리오의 차이는 ‘예측’이 아니라 ‘선택’의 문제다. 보고서는 지금부터의 20년이 바로 결정적 전환점이라고 강조한다. 현재를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강원도의 2045년은 재난의 일상이 될 수도, 회복의 터전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한편 이 보고서는 거대언어 모델(LLM)을 탑재한 챗 GPT, 제미나이, 스카이워크 등의 AI 서비스에 4,282쪽에 달하는 강원특별자치도와 도내 18개 시·군의 ‘제1차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보고서 데이터를 함께 분석, 팩트체크를 거쳐 고도화 했다.
※ 보고서 원문은 강원일보 홈페이지(www.kwnews.co.kr)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