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은 4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최근 북미 정상회담을 염두에 둔 내부 동향이 포착됐다고 밝혔다.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를 계기로 북미 정상 간 회동은 이뤄지지 않았지만, 물밑에서 이를 준비한 정황이 여러 경로를 통해 확인됐다는 것이다.
국정원은 이날 서울 내곡동 청사에서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 같은 내용을 보고했다고, 정보위 여야 간사인 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과 국민의힘 이성권 의원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국정원은 "APEC 계기 북미 정상 간 회동은 불발됐지만, 북한이 미국과의 대화에 대비해 분석과 준비를 진행한 정황이 확인되고 있다"며 "미국 대북 실무진의 성향에 대한 분석 작업도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북한의 대미 메시지에서도 변화를 감지했다고 덧붙였다.
국정원은 "9월 21일 최고인민회의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조건부 대화를 시사한 이후, 핵무장 관련 직접적인 발언은 자제되고 있으며 발언 수위 조절이 이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국정원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아시아 순방 중 김 위원장과의 만남 의사를 내비친 점에 주목하며, "이 같은 가능성을 고려해 북한은 최선희 외무상의 방러 일정을 막판까지 고심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어 "김 위원장이 대미 대화에 의지를 갖고 있으며, 여건이 갖춰질 경우 미국과의 접촉에 나설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박선원 의원은 이에 대해 "북한은 미군 유해 정보를 확보하는 등 북미 접촉 시 협상 카드로 활용할 만한 요소들을 준비해왔고, 트럼프 전 대통령과의 관계도 강조하며 회담을 끝까지 고심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국정원은 향후 북미 관계와 관련해 "정상회담이 재개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북한이 최근 미국 내 국제기구 및 대북 관련 인사들에 대한 정보를 다수 수집한 점도 그 근거로 제시됐다.
이성권 의원은 "북한은 러시아 및 중국과의 밀착을 바탕으로 북미 관계 개선을 모색 중이며, 내년 3월 한미연합훈련 시기가 정세 변화의 1차 분기점이 될 수 있다고 국정원이 보고 있다"고 전했다.
국정원도 사후 언론 공지를 통해 "정확히는 내년 3월이 정세 분기점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한 것이며, 정상회담 추진을 구체적으로 언급한 바는 없다"고 해명했다.
남북 및 북중 관계에 대해서도 보고가 이뤄졌다.
국정원은 "9월 북중 정상회담 이후 16년 만에 중국 총리가 북한을 방문하는 등 고위급 교류가 활발해지며 관계 정상화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연말 개통이 예상되는 신압록강 대교와 관련해, 중국산 민생 물자 지원에 대한 기대감이 북한 내부에서 확산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9월 북한의 대중 무역액이 전달 대비 약 50%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고도 덧붙였다.
한편, 남북 관계에 대해선 국정원이 "북한이 한국과의 접촉을 차단하는 지침을 대외 공간에 하달하고 있으며, 한미에 대한 차별적 대응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북한이 남북을 서로 다른 국가로 규정하는 '2국가론'을 헌법에 반영하는 개헌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