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의 고용시장이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다. 실업자 수가 1년 새 50% 넘게 급증했고, 청년 취업자 수는 10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고용시장 한파가 장기화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청년층의 고용 절벽은 도내 미래 성장동력마저 갉아먹을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심각성이 크다. 강원지방통계지청이 발표한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강원지역 실업자 수는 1년 전보다 6,000명(54.6%) 폭증한 1만7,000명에 달했다. 실업자 수는 4개월 연속 늘어났으며, 증가폭 또한 지난달보다 두 배 이상 급등했다.
특히 지역 주력 산업인 제조업과 건설업의 취약성이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청년 취업의 계속된 감소다. 올해 들어 10개월 연속 청년 취업자가 줄어들었고, 10월 기준으로만 봐도 1만4,000명이 감소했다. 도내 전체 취업자가 소폭 증가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는 단순한 경기 둔화의 결과를 넘어 구조적인 ‘일자리 미스매칭’을 시사한다.
지역 기업이 청년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으며, 청년은 전공을 살릴 수 있는 일터를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청년층의 수도권 유출이 가속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는 고용 문제가 아니라 지역 소멸로 이어질 수 있는 중대한 사회 구조적 위기다. 청년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정책으로 ‘일자리 정책’을 꼽고 있다는 사실이 이를 방증한다. 강원자치도는 이제 생존을 위한 ‘강원형 청년 일자리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단기적으로는 도내 구직자와 기업 간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디지털 기반 일자리 매칭 플랫폼 구축이 절실하다. 이를 통해 전공과 직무 간 불일치 해소, 기업 요구사항과 구직자 역량 간 격차를 줄일 수 있어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청년이 머무를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수다.
정주 여건이 확보되지 않으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도 외부로 빠져나가는 청년을 붙잡을 수 없다. 청년 임대주택 확대, 문화·여가 인프라 확충, 공공부문 일자리의 지역 안배 등 종합적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 강원자치도의 산업 구조를 청년 중심으로 재설계할 필요가 있다. 농림어업과 건설업에 편중된 산업 지형에서 벗어나 바이오, 디지털, 문화 콘텐츠, 친환경 에너지 등 청년이 관심 갖는 산업에 대한 전략적 투자로 산업 기반을 재편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대학, 연구기관, 스타트업과의 협력 체계를 통해 청년이 창업하고 정착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