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양양공항 존폐위기 직면 대책 급하다

양양국제공항이 존폐위기에 놓였다. 유일한 정기노선인 김해 간 주 4편의 운항이 지난 9일부터 중단됐지만 재개 여부가 여전히 불투명해서 그렇다. 이번 휴항사태가 비록 만성적인 수요부족에 고유가 여파가 겹쳐 파생된 일시적인 사정이기는 하나 되짚어 보면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향후 여건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지 않으면 상당기간 휴항이 불가피할 전망이어서 실상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 7월 휴항 이후 사실상 폐쇄된 제주항공의 김포노선 운항 전철과 유사해 더욱 염려스럽다. 다급해진 강원도가 운항재개 후 탑승률이 저조하면 손실의 일부를 보전해 줄 용의가 있다며 대한항공의 결단을 압박하고 있으나 불안하기는 마찬가지다.

상식적으로도 적자를 감수하며 비행기를 띄울 항공사는 없다. 양양공항은 전국 14개 지방공항 가운데 가장 큰 폭의 적자를 내고 있을 정도로 자체 경쟁력에도 문제가 많아 현실적으로 항공사 유치도 어렵다. 최근 우후죽순처럼 생겨난 7∼8개 저가 항공사들이 유독 양양공항에만 눈길을 주지 않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대부분 수익성 확보가 쉬운 노선 유치에 집중하다 보니 상대적으로 기반이 취약한 곳에 투자할 리 만무하다는 것이다. 몇몇 지방공항은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전면에 나서 보조금 지원 등 갖가지 당근책으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으나 양양공항은 이마저 제대로 안돼 이래저래 난감한 처지다.

아무튼 양양국제공항 활성화는 산적한 난제들을 어떻게 극복하느냐에 달렸다. 특히 공항 유지에 기본적인 여객 수요를 대폭 늘리는데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지금으로서는 달리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설악산 케이블카 설치, 고성 국회연수원 건립, 여운포리 신항만 건설 등의 지역 현안도 이러한 관점에서 정부의 전향적인 조치가 시급하다. 면세점 유치 등 환동해권 거점 공항의 위상과 역할에 필요한 시설도 완벽히 갖춰야 함은 물론이다. 냉정한 현실 진단으로 조속히 돌파구를 찾아주길 바란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