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없던 병도 생긴다' 마스크 해법 머뭇거려선 안 된다

코로나19와 사투를 벌이는 대한민국에서 마스크 착용은 대응 수칙의 기본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생필품인 셈이다. 마스크 없이는 외출도 두렵고 공공장소 출입도 제한을 받는다. 하지만 공적 판매처를 통한 정부의 마스크 공급 방식에는 많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마스크 보급을 둘러싼 불만이 쏟아지고 있는 이유다. 오히려 마스크 대란을 부추긴다는 비판마저 사고 있다. 오죽하면 대통령까지 나서서 고개를 숙였겠는가.

수요보다 공급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서 원활한 마스크 배급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정부가 매일같이 공적 물량을 약국과 우체국 등에 푼다고 하는데도 정작 현장에서는 마스크를 사기 어렵다. 사방팔방 뛰어다니고 오랜 시간 긴 줄을 서도 허탕을 치기 일쑤다. 확진자가 함께 섞이는 것을 막기도 힘들다. 실제로 마스크 구매 행렬에서 확진자가 발견돼 강제 이송되는 사례가 나오기도 했다. 마스크 사려다가 '없던 병도 생길까 불안하다'는 말까지 들린다. 판매처마다 마스크 판매 시간이 다른 점도 지적을 받고 있다. 한 사람이 여러 곳을 다니며 마스크를 구매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는 탓이다. 게다가 거동이 어려운 어르신과 장애인 등 취약계층은 여전히 마스크 공급 사각지대로 남아 있다.

사정이 이렇자 문재인 대통령은 최근 국무회의에서 불편한 마스크 공급에 대한 사과와 함께 “최대한 합리적이고 공평한 보급 방안을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정부가 마스크 공급 체계 개선안 검토에 들어갔다. 약국에서 중복해서 약을 탈 수 없도록 하는 'DUR(의약품 안전사용서비스)' 방식을 마스크 구입에 도입하는 것이 거론된다. 한 곳에서 마스크를 사는 경우 다른 곳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마스크실명제다. 도내 영월군에서 각 마을 이장이나 계층별 대표를 통해 취약계층에 전달하는 방안도 주목을 받고 있다. 지자체가 직접 세대별로 동일한 양의 마스크를 나눠주는 방식이다. 많은 사람이 줄을 서면서 발생할 수 있는 전염 가능성을 막는 것은 물론 공급물량 불균형에 따른 주민 간 갈등도 방지할 수 있다.

분명한 것은 지금처럼 해서는 마스크 대란을 해결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하루 500만장이 풀리는데도 공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는 실정에서 대책 마련이 늦어질수록 혼란은 커질 수밖에 없다. 마스크 지급 문제로 더는 우왕좌왕할 시간이 없다. 위급한 상황이다. 빠른 시일 내 공평한 보급 방안을 제시해야 방역도, 경제도 모두 잡을 수 있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