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반

“경계선지능인 사회적응 모색하는 자리 마련된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오는 15일 국회에서 ‘경계선지능인법(가칭) 입법 준비 토론회’ 열려
경계선지능인 생애주기별 맞춤지원제도 마련의 필요성

◇오는 15일 국회에서 열리는 ‘경계선지능인법(가칭) 입법 준비 토론회’ 포스터

경계선지능인의 안정적인 사회적응과 종합지원 대책 마련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허영 국회의원과 경계선지능인 지원센터 느린소리 등이 마련한 ‘경계선지능인법(가칭) 입법 준비 토론회’가 오는 15일 오전 10시 국회의원 회관 제9간담회의실에서 열린다. ‘경계선지능인의 생애주기별 지원제도의 필요성’을 타이틀로 한 이날 토론회에서는 오경옥 서울시 경계선지능인 평생교육 지원센터 팀장이 ‘경계선지능인과 관련 지원제도 현황’ 을 주제로, 박현숙 경계선지능연구소장이 ‘경계선지능인 생애주기지원의 필요성’을 주제로 발제한다.

이어 허소영 한림대 사회복지대학원 교수가 좌장을 맡아 경계선지능인법의 바람직한 입법 방향과, 보호아동 자립지원 사업의 성과와 시사점 등에 대한 토론을 진행한다. 특히 실제 경계선지능인인 이창갑씨가 참여해 ‘경계선지능 청년이 살아가는 지금 우리 사회’를 주제로 경계선 지능인의 현실적인 삶을 조명할 예정이어서 눈길을 끈다.

최수진 느린소리 대표는 “경계선지능인은 지금까지 복지, 교육, 문화 등 사각지대에 있으면서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는 현재 우리나라에 14%가 되는 경계선 지능인을 더는 방치하며 안 된다는 이야기와 함께 이들을 위한 지원책 마련을 위해 준비됐다”고 말했다.

※경계선지능인 =지능 지수(IQ)가 71~84 사이로 지적장애(IQ 70이하)에는 해당되지는 않지만, 평균 지능에 미치지 못하는 인지능력으로 인해 복지 사각지대에 방치돼 지원과 보호가 필요한 사람을 말한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