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동 남부권의 취약한 건강지표를 고려해 볼 때 지역 주민의 건강과 행복을 지키기 위해서는 삼척·동해권의 대학병원 유치가 매우 필요할 수 있다. 수년 전부터 삼척 강원대병원의 건립과 운영을 고민해보았고 한 때 필요하면 몇 년이라도 삼척에서 진료할 생각도 했던 필자는 매우 어렵겠지만 이번 정부에서도 이루지 못한다면 내 평생에는 가능하지 않을 것 같다는 심정으로 의견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3천억원 이상이 소요될 수 있는 삼척 강원대병원을 건립하기 위해서는 교육부의 국립대학병원 국고지원 기준에 특례조항을 추가해야 한다. 강원도가 특별자치도로 지정받으면서 다른 시·도와는 다르게 특별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특례조항들을 검토하고 있는데 병원을 신축하는 경우 강원대병원이 받을 수 있는 국고지원 비율은 30%이다. 이것을 70% 수준으로 변경하는 것이 필요하다. 오래전 일이기는 하지만 국립대병원 분원이 70%의 지원을 받고 건립된 적도 있었다. 장기간 70%를 지원하기 어렵다면 일몰 5년 한시적인 특례조항을 만들어서 삼척 강원대병원 건립과 강원대병원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머지 30%는 삼척시, 강원도 등의 지원이 필요할 수 있다. 강원대병원도 자체적으로 사업비를 부담하면 좋겠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건립은 하더라도 큰 적자를 내지 않고 운영이 가능할 것인가에 대한 걱정도 큰 것 같다. 삼척의 인구만으로는 운영이 되지 않을 것이다. 진료권을 확대해야 한다. 삼척시와 동해시 경계에 있는 부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수 있다. 삼척, 동해, 태백, 정선, 울진 전체를 진료권으로 하는 권역의 중심병원으로 운영해야 할 것이다. 병원 명칭을 삼척·동해 강원대병원 또는 동해·삼척 강원대병원으로 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도 필요할 수 있다. 교육부는 향후 대학의 유휴 부지에 다양한 수익사업을 할 수 있게 하겠다고 발표했다. 병원의 건립과 함께 병원 부지 또는 인접 부지에 주상복합건물, 상업 시설 등을 예산 지원 또는 민간자본 유치를 통해 건립하여 병원 의료진 거주시설 확보와 함께 다양한 수익사업을 수행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병원을 중심으로 하나의 특화 단지를 구축하자는 것이다. 구축된 단지는 기존의 삼척의료원, 동해 동인병원, 동해병원 및 지역의 병의원들과도 역할을 분담하고 필요한 지원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의사를 포함한 의료진을 확보할 수 있을까? 지방의 의료 인력수급 상황을 고려해볼 때 쉽지 않을 것이다. 삼척시, 동해시, 강원대병원, 서울대병원 등의 4자 또는 다자간 의료 인력지원 협약을 체결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고 중앙정부의 지원도 중요하다. 정부에서 의과대학 정원 증원을 검토하겠다고 하는데 강원대 의과대학의 정원을 증원하고 지역인재 전형 비율을 50% 이상으로 상향 조정하고 일부 국립대처럼 지역인재 저소득층 전형도 신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교과과정이나 교육내용도 보완하여 배출된 의사들이 최대한 지역에 머물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현재 근무하고 있는 강원대병원의 전공의와 향후 채용될 전공의들을 최대한 교수요원으로 양성하여 삼척·동해권의 대학병원에 근무하게 하기 위한 수련제도의 조정과 지원도 필요하다. 일부 지자체는 대학병원의 비인기과 전공의에 대한 수당도 지원하고 있다. 간호대학과 약학대학에 대해서도 유사한 지원과 지역인재 전형 비율 확대가 필요할 것이다.
의료가 취약한 지역은 우선적으로 소멸할 수 있다. 지역 소멸은 국가소멸을 앞당길 수 있다. 손가락, 발가락이 망가지고 팔과 다리가 훼손되면 몸통과 심장, 두뇌는 멀쩡할 수 있을까? 결단의 시간은 얼마 남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