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은 2014년 세월호 참사에서 안전불감증의 민낯을 보며 트라우마를 겪었고, 2015년에는 메르스 사태에서 허술한 방역체계를 확인하면서 공포에 떨었다. 애써 진정시킨 불안심리가 최근 다시 고조되고 있다. 강원지역 계곡과 유원지에 배치된 물놀이 안전요원의 평균 연령대가 60대에 이르면서 고령화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안전관리요원의 평균 연령은 58.4세로 지자체별로는 정선이 63.2세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홍천·횡성(63세), 춘천(62세), 원주·강릉·평창(60.9세) 등 6개 시·군의 평균 연령대 또한 60대 이상이었다. 더욱이 전문 구조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 안전요원은 도내에 단 한 명도 없는 상황이다. 이들이 받는 사전 구조 교육 또한 소방서와 연계해 당일치기로 진행되는 심폐소생술(CPR) 교육 등에 그쳐 실효성이 떨어진다. 안전관리요원들이 활동하는 계곡이나 유원지 등 내수면 지역은 해수욕장보다 구조·구급 작업이 더뎌 전문 인력의 확보가 시급하다.
모든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는 것이 일차적인 국가의 역할이며 자치단체의 책무다. 안전관리를 위한 실효적 정책을 개발해 주민과 함께 사회 전반의 안전 의식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각종 재난과 안전사고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일이 국가와 자치단체의 소명이다. 안전은 말로만 외친다고 되는 게 아니다. 훈련으로 돌발 상황 대처 요령이 몸에 배어야 한다. 사고 예방 대책과 훈련이 말단의 실핏줄까지 철저하게 퍼지도록 해야 한다. 무슨 사고가 날 때마다 ‘~했다면’이라는 안타까운 가정이 등장하는 사회는 결코 정상적인 공동체가 아니다. 똑같은 참사가 되풀이되는 사회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청정 강원자치도가 안전의 사각지대가 돼선 곤란하다. 안전 대책을 다잡을 일이다.
도내 지역은 지형이 험준하고 지리적으로 사고 응급 대처가 용이하지 않는 곳이 널려 있다. 안전 문제에 대해서는 단호한 집행력을 보여야 한다. 정말 말로 그쳐서는 안 된다. 안전은 좀 더 비싸고 불편하더라도 기꺼이 지불해야 할 비용이라고 인식할 줄 아는 사회가 돼야 한다. 기본에 충실해 곳곳에 만연한 안전불감증을 뿌리 뽑아 나가야 한다는 뜻이다. 시스템을 송두리째 뜯어고치는 일은 그다음이다. 안전은 결코 공짜가 아니다. 더욱이 본격적인 휴가철이다. 피서 차량이 한꺼번에 몰리면서 안전사고 위험이 커지고 있다. 장마철로 접어들면서 포트홀 발생 가능성도 높아졌다. 도로 관리에 바짝 신경 써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