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대청봉]진정성 있는 지역상생 자세 필요하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황만진 삼척주재 부국장

삼척 온실가스 1,713만톤
도내 18개 시·군 중 최다
탈석탄 법안 요구 주목
...
석탄 육상 운송 강행에
주민 피해 호소 목소리
운송 노선 변경 요구도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UN)사무총장이 “지구 온난화 시대가 끝나고 지구 열대화 시대가 시작됐다”고 경고했다.

유럽연합(EU) 기후변화 감시기구가 7월 중순의 온도가 역대 최고라는 관측 결과를 발표한 데 대해,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현재 기후변화 현상이 진행 중이다. 공포스러운 상황이지만 단지 시작에 불과하다”는 무서운 메시지를 보냈다. 이어 “지구 온도 상승폭을 1.5도 이내로 제한하는 목표를 달성하고, 최악의 상황을 피할 여지는 남아 있다”는 말로 회원국의 행동을 촉구했다.

앞서 EU 기후변화 감시기구인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서비스(C3S)는 7월 들어 15일까지 온도가 1940년 관측 이래 가장 높았다면서 역대 가장 더운 7월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C3S는 올 6월 역시 관측 이래 가장 더운 6월이었고, 세계 평균 기온이 1991∼2020년 6월 평균치보다 0.53도 더 높았다고 발표했다.

청정지역으로 알려지고 있는 동해안이 온실가스 배출의 온상이 되고 있다.

2020년 기준 삼척지역에서 발생한 온실가스는 1,713만톤으로, 도내 18개 시·군 가운데 가장 많은 양이다. 이 수치는 강원자치도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32.2%를 차지했다. 동해시 또한 온실가스 배출이 두 번째로 많았다. 삼척과 동해지역이 도내에서 온실가스 배출이 가장 많은 것이다.

화력발전소와 시멘트공장 등 탄소배출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 지역 산업구조가 구조적으로 같은 두 지역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은 강원도 전체의 63%에 이를 정도다.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화력발전소 폐쇄밖에는 뾰족한 대책이 없는 상황에서 국민청원으로 이뤄진 탈석탄 법안 요구가 어떻게 법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할지 주목되고 있다.

탄소중립 노력도 진행되고 있다. 삼척시 탄소중립지원센터와 삼척교육지원청이 초·중·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9월부터 12월까지 탄소중립 시민교육을 운영한다.

 강원대 삼척산학협력단은 도내 처음으로 ‘탄소중립지원센터’로 지정돼 2026년까지 운영될 예정이며, 삼척시 가곡면 풍곡마을 또한 정부로부터 탄소중립 실천마을에 선정됐다. 하지만 기후변화로 인해 고통이 가중될수록 화력발전소를 바라보는 시선이 곱지 않다.

지구가 온난화를 거쳐 열대화로 가는 것은 탄소배출량에 기인하고 있는 데다, 석탄화력발전소가 주된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기 때문이다. 삼척블루파워가 시행하고 있는 화력발전소 건설은 사업 초기부터 찬반 논란이 그치지 않았다. 최근에는 석탄 육상 운송을 강행하면서 피해를 호소하는 주민들의 목소리는 거칠게 높아져 있고, 운송 노선까지 변경하라는 요구가 나오고 있다.

 동해항에 발이 묶여 있던 석탄을 육상으로 운송해야 하는 사업자의 불가피한 형편을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이 과정에서 오히려 주민들의 신뢰는 무너지는 느낌이다. 몇 달 동안 보여준 태도와 일방통행, 주민수용성이 과연 지역과 상생하려는 인식을 갖고 있는 지 의문이 제기됐다. 건설현장에 참여하고 있는 지역 건설업체들이 도산에 직면한 위기, 노동자들의 요구사항에 대해서는 원칙론만 내세우고, 당초 항만을 이용하겠다던 약속은 저버리고 자신들의 뜻대로 강행하는 전형적인 아전인수(我田引水)의 모습이다.

동해안 지역은 청정 바다와 산, 자연자원을 활용한 관광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올인하고 있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명분으로 화력발전소를 받아들였지만, ‘온실가스 배출의 온상’이라는 오명과 미래 먹거리가 위협받는 등 얻는 것보다는 잃는 것이 많을 것이라는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삼척 주민들은 원덕읍에 화력발전소를 유치하면서 지금은 지역 공동화와 황폐화된 환경을 경험하고 있다. 건설 뒤 남겨지는 지역 주민들의 고통을 감안할 때 진정성 있는 지역상생 자세가 필요하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110년만의 귀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