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지역 경찰관들이 업무 수행 중 교통사고로 부상을 당하는 경우가 속출하고 있다. 지난 17일 교통사고 현장을 수습하던 경찰관이 승용차에 치여 중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 안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 17일 오전 11시21분께 양구군 양구읍 상리 상용터널 인근의 교통사고 현장서 교통정리를 하던 A(여·32) 경장이 그랜저 승용차에 치였다. 이 사고로 A경장이 허리와 오른쪽 팔다리에 골절상을 입었다. A경장은 출동한 119구급대원에 의해 의식을 잃은 상태로 병원에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다.
동료 경찰관들은 안타까움을 감추지 못했다. 경찰관 B씨는 “완쾌되어도 교통사고에 대한 트라우마로 고통을 받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강원특별자치도경찰청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동안 경찰관 공상 234건 중 49건(20.9%)이 교통사고로 인해 발생했다. 10건 중 2건이 교통사고였던 셈이다.
하지만 교통사고 현장에 출동한 경찰관에 대한 보호 대책은 부실하다는 지적이다. 사고 현장에서 수십미터 떨어진 곳에 교통사고 임시표지판을 설치하거나 경찰관이 직접 신호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전부다. A경장의 사고 당시 경찰관들은 별다른 안전대책 없이 현장 통제와 환자 응급 조치를 서둘렀던 것으로 알려졌다.
지구대 소속 C 경찰관은 “도로 한복판에서 사고를 수습하다보니 언제 어디서 덮쳐올지 모르는 2차 사고에 대한 걱정이 크다”며 “경찰관 교통사고는 경력이 많은 베테랑들도 피하기 어렵다.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토로했다.
남재성 한라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시민 의식 교육을 강화해 교통사고 현장 인근에서는 반드시 서행하는 분위기를 확산시켜야 한다”며 “해외 사례처럼 사고 현장 인근 도로에서는 제한속도를 임시로 설정해 2차 사고를 예방하는 방안도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