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공무원 10명보다 낫다?…챗GPT로 정책 분석·홍보·재난예방까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특별자치도, 6개 시·군 챗GPT 업무 활용
지난해 이후 챗GPT 구독료 4200만원 투입해
영상콘텐츠 제작, 정책 및 통계 분석 주로 이용
챗GPT 편중 탈피 및 보안정책 강화는 과제로

◇강원특별자치도가 최근 제작한 산불예방 영상 컨텐츠. 나레이션 등에 AI를 활용했다.

생성형 인공지능(AI) 사용이 늘어나면서 강원특별자치도를 비롯해 시·군에서도 챗GPT를 공식 도입하고 있다.

디지털 시대 전환에 맞춰 AI 활용을 통해 정책 효과를 극대화하면서도 정보 유출을 막기 위한 보안도 더욱 강화하고 있다.

강원자치도에 따르면 도청 대변인실, 정책기획관실, 정보화정책과, 예방안전과, 교육기획과를 비롯해 속초시, 삼척시, 영월군, 정선군, 화천군, 양양군 6개 시·군이 예산을 투입해 행정에 챗GPT를 활용하고 있다.

유튜브 등 영상콘텐츠 제작은 물론 재난재해 및 안전사고 예방, 정책자료 및 통계 분석, 보고서 초안 작성 등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챗GPT를 가장 먼저 도입한 곳은 양양군으로 지난해 4월부터 65명의 직원이 공식적으로 업무에 활용 중이다. 정선군은 올해 2월 생성형 AI를 업무에 도입했으며 도내에서 가장 많은 1,530만원의 챗GPT 구독예산을 편성했다.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3월까지 챗GPT 구독료로 977만원을 투자한 속초시는 직원 주도의 AI동아리도 운영 중이다.

AI가 가장 폭넓게 쓰이는 행정 분야는 각종 재난예방 및 알림, 정책, 관광 홍보 등을 위한 영상 제작이다. 강원자치도가 최근 제작한 영상 컨텐츠들은 AI 아나운서를 활용하고 있다. 이를 위해 담당 팀에서는 챗GPT외에도 캐릭터, 보이스 등을 지원하는 생성형 AI를 별도로 유료 구독하고 있다.

지난해 이후 강원자치도 등이 사용한 생성형 AI 구독료는 4,247만원이다.

보다 폭넓은 AI프로그램의 활용도 필요하다. 강원자치도와 시·군은 주로 챗GPT에 의존하고 있다. 반면 서울시와 경기도는 각각 10개, 인천시와 충남도 등은 각각 6개의 AI프로그램을 공식적으로 활용 중이다.

보안사고에 대한 철저한 대비도 필요하다. 강원자치도는 전 실·국 및 시·군에 국정원 ‘생성형 AI 활용 보안 가이드라인’을 주기적으로 공지하고 있다.

보안 가이드라인은 △비공개·개인정보 등 민감 정보 입력 금지 △생성물에 대한 정확성·윤리성·적합성 등 재검증 △생성물 활용 시 지식 재산권·저작권 등 법률 침해 및 위반 여부 확인 △연계·확장 프로그램 사용 시 보안 취약 여부 등 안전성 확인 △로그인 계정에 대한 보안 설정 강화 등이 담겨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