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12월 개각설(본보 28일자 3면 보도)이 구체화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빠르면 다음 주부터 대대적인 인적 쇄신에 착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 4월 열릴 국회의원 총선을 앞두고 대통령실 수석급 참모 대부분과 19개 부처 장관 중 절반 이상이 교체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현실화할 경우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최대 규모의 물갈이다. 이미 차기 국토교통부장관에 삼척출신 심교언 국토연구원장이 강력하게 물망에 올라 있고, 대통령실 홍보수석에 이도운(홍천), 시민사회수석에 황상무(평창)가 각각 다음 인사 대상으로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영국·프랑스 순방 귀국 직후인 26일 국가정보원장을 비롯한 수뇌부를 사실상 전격 경질한 게 신호탄이라는 시각이 많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28일 "이번 개각·개편은 집권 3년 차를 맞아 국정과제를 이행하고 국민이 체감하는 정책을 펼 수 있는 인재를 적재적소에 배치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우선 대통령실 개편은 다음 주 예산 국회 마무리 후 윤 대통령의 네덜란드 출국 전 시점이 유력하다.
김대기 비서실장의 유임이 상수로 받아들여지는 가운데 수석비서관 6명 중 이관섭 국정기획수석을 제외한 5명이 총선 출마와 내각 발탁 등 이유로 자리를 옮길 것으로 보인다.
이럴 경우 사실상 '대통령실 제2기' 시작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대통령실은 인적 쇄신과 조직 개편도 병행한다.
과학기술수석 신설 방침은 사실상 확정됐다. 또 사회수석실에서 분리해 현 정부의 3대 개혁 과제 수행을 위한 환경·노동·복지 수석을 두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2030세계박람회(엑스포) 개최지 투표 결과에 따라 대통령실 내 엑스포 유치 업무를 전담했던 미래전략기획관실도 조직 개편 영향권에 들 수 있다.
내각에서는 중앙부처 19개 장관 중 7∼10명이 교체되는 중폭 이상 개각이 단행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