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선거구획정위원회가 국회에 제출한 안은 2020년 3월 제시한 안과 '판박이'다. 그동안 강원도를 비롯한 농촌지역이 주장해온 면적과 특수성이 여전히 반영되지 않은 탓이다.
2020년 4·15총선을 한달여 앞둔 3월, 획정위는 6개 시·군을 묶은 '속초-철원-화천-양구-인제-고·성'을 비롯해 '강릉-양양' '홍천-횡성-영월-평창-정선' '동해-삼척-태백' 등의 안을 제시했다. 인구 상한선을 넘어서는 춘천 분구를 위해 '공룡 선거구'를 만든것이다. 당시에도 지역사회를 비롯한 정치권의 거센 반발로 결국 현행 선거구가 탄생했다. 현행 선거구 역시 춘천시 6개 읍·면을 떼 다른 선거구에 붙이는 기형 선거구가 됐다.
국회의장은 획정 기준안으로 지자체의 읍·면·동을 일부 분할해 획정할 수 있도록 허용했지만 획정위는 일부 분할 대신 공룡선거구 획정을 선택했다.
획정위 안이 현실화되면 48명의 국회의원을 선출하는 서울보다 7배가 넘는 면적의 강원 선거구에 단 1명의 국회의원을 선출하게 된다. 실제 ‘속초-철원-화천-양구-인제-고성’ 선거구 면적은 4,872㎢에 달한다. 서울(605,2㎢)의 약 8배다. '괴물 선거구'에서 1명의 국회의원을 뽑아 48명이 뛰는 서울 국회의원들과 같은 역할을 하라는 뜻이 된다. 6개 지역이 하나의 선거구로 묶이면 서로 다른 주민 정서와 지역 현안을 1명의 국회의원이 감당해야 해 지역 대표성 상실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과거 강원도 국회의원 의석수는 1988년 제13대와 1992년 제14대 때 14석에 달했고 1996년 제15대에서는 13석이었다. 그러던 것이 2000년 제16대 국회에서 9석으로 현격하게 줄었고 다시 2004년 제17대 국회 때 현재 의석수인 8석으로 감소했다. 이후 2012년 19대 국회 때 원주가 분구되면서 9석으로 늘었지만 2016년 20대 국회 이후 1석이 다시 줄어들었다. 넓은 면적에 비해 차별적 대우를 받고 있고 지역 특성을 전혀 반영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