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을 방과 후에도 학교가 돌보는 늘봄학교 정책이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시행된다. 맞벌이 부모의 최대 고민은 자녀 돌봄의 어려움과 사교육비 문제다. 아이를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보낼 때는 돌봄을 걱정하지 않았으나 초등학생이 되면서부터 사정이 여의치 않아 부모 중 한 명이 직장을 그만두거나 아이를 ‘학원 뺑뺑이’ 돌리는 실정이다. 이런 학부모들의 고충 해소를 위해 나온 게 늘봄학교 정책이다. 희망하는 초등 1년생을 대상으로 1학기에는 2,700여개 초등학교에서, 2학기에는 전국의 모든 초등학교에서 도입한다. 내년에 초교 1~2년생으로 확대하고 2026년부터는 전 학년으로 넓힌다. 2025년 시행하려던 것을 1년을 앞당긴 것으로 방과 후 수업에다 저녁 식사까지 공교육에서 책임진다니 학부모들은 대환영이다.
하지만 현장 교사와 행정직원들은 업무량 증가를 우려하며 불만을 토로한다. 강원지역 교직원 단체 회원들은 지난 26일 늘봄학교 프로그램 준비 및 늘봄교실을 점검하기 위해 춘천 후평초교를 찾은 오석환 교육부 차관에게 “졸속적으로 만들어진 늘봄학교가 강행되고 있고 현장 교사들에게 업무가 떠넘겨지고 있다”고 항의하며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실제로 적지 않은 혼란이 예상되는 게 사실이다. 도의 경우 올 하반기부터 기존 행정실, 교무실 외에 ‘늘봄지원실’을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도내 367개 초등학교 중 늘봄 전담 교육행정직 공무원이 배정되는 학교는 6개에 불과해 360여개 초교는 기존 인력이 늘봄 업무까지 맡아야 하는 상황이다. 또 늘봄교실을 운영할 공간이 부족하고 강사 구하기도 쉽지 않아 대체 강사를 해야 할 수도 있다. 여기에 장기적으로 방과 후 수업이 돌봄 수업으로 대체될 것을 염려하는 방과 후 교사들도 있다.
교육 당국은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걱정을 불식시켜야 한다. 늘봄학교는 여성의 경력 단절과 초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우리나라의 미래를 위해 반드시 성공해야 할 정책 과제다. 따라서 양질의 인력을 충분히 확보하는 일이 중요하다. 교육의 질이 담보돼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야만 초저출산 대책으로서의 늘봄학교가 안착할 수 있다. 업무 분담도 명확해야 한다. 방과 후 초등학생들을 국가가 대신 돌보겠다는 좋은 취지도 현장에서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모두에게 짐이고 부담이 된다. 그리고 지자체, 지역 대학 등 지역사회가 함께 관심을 갖고 강원 늘봄학교가 제대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