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얼마전 방문한 운전면허학원에서는 1종대형면허(버스) 시험을 준비하는 사람들이 주행 연습에 한창이었다.
그날 주행 연습을 하는 수강생들의 대다수가 20대였다. 이를 신기하게 바라보자 “요즘 버스 면허 시험을 치르려는 사람들 중 20~30대가 대폭 늘었다”는 강사의 설명이 돌아왔다.
강사는 “경기가 좋지 않아 취업난이 심해서 그런지 유독 젊은층 수강생들이 많아졌다”고 덧붙였다.
최근 고금리·고물가의 장기화로 경기가 좀처럼 살아날 줄 모르면서 취업시장에 찬 바람이 불고 있다.
올 6월 강원지역 취업자는 87만5,300명으로 지난 5월보다 3,000명 감소했다. 지난해 6월보다도 100명 줄었다. 청년층(15세~29세)의 취업자 수도 10만900명으로 전달보다 1.8% 줄었다. 도내 청년층의 취업자 수는 5월부터 감소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동안 하락세가 이어지던 청년층 실업자 역시 지난해 2분기보다 3.1%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도 비경제활동인구 중 청년층 ‘쉬었음’ 인구는 4만명이나 늘었다. 이는 그냥 구직을 단념한 청년이 많아졌다고도 볼 수 있다.
청년층 취업 문제는 강원자치도를 비롯한 도내 지자체들의 오랜 숙제다. 강원지역은 대도시에 비해 일자리 수가 상대적으로 적고, 제조업 기반이 약한 탓에 청년들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 때문에 도내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기 위해 서울 등 수도권으로 이주하는 현상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며, 이는 지역 사회의 인구 감소와 경제적 활력을 저하시키고 있다.
강원지역을 비롯한 전국 청년 일자리시장의 불황 해결을 위해 정부는 올해 관련 예산을 대폭 증액했다. 고용부의 청년취업지원 예산은 4,463억원으로 지난해 1,644억원보다 2.7배 늘어났다.
강원자치도도 청년층 일자리 문제 개선을 위해 다양한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청년 디딤돌 2배 적금’ 제도를 마련, 일하는 청년들에게 목돈 마련 기회를 제공, 안정적인 자산 형성을 돕고있다. 또 100억 규모의 ‘청년창업자금 무이자 대출’ 지원사업을 통해 청년 창업 활성화를 견인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강원지역 청년층의 체감은 미미하다는 지적이다. 취재현장에서 마주친 젊은층들도 “일자리 수, 고용 증가도 좋지만 청년들이 원하는 일자리를 늘려야한다”고 말한다.
현재 정부는 청년들의 늦은 사회 진출과 만혼을 저출생의 원인으로 꼽으며, 사회문제의 원인을 자꾸 청년들에게서 찾으려고 한다.
청년들을 탓하기 이전에 청년들이 경제적 자립을 해 사회의 재원이 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먼저다. 청년들을 위한 우수한 일자리가 늘어나면 자연스럽게 취업률이 늘고 사회 진출도 빨라질 것이다.
일자리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지자체와 정부가 함께 구인구직 미스 매치를 줄일 수 있는 방안, 신산업 일자리 창출 등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강원자치도는 지역 여건상 국가 지원 등 정책적인 배려가 많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도정에서 역점적으로 추진 중인 반도체, 바이오 등 첨단산업들이 자리를 잡아 양질의 일자리 확대로 이어지려면 국가에서도 규제개혁 등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