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공학은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 단계부터 송전, 변전, 배전 등 전력 전송 분야뿐만 아니라 전기, 전자, 전자기의 연구 및 응용 등 폭넓은 분야를 다룬다.
일반적으로 전기공학이 다루는 분야를 강전, 전자공학이 다루는 분야를 약전이라 말하는데 강전은 전압이 48V(볼트) 이상을, 약전은 48V 미만을 의미한다. 우리 실생활에서 접하는 대부분의 전기는 강전으로, 전기는 이제 우리 생활에서 잠시라도 떼어 놓을 수 없는 중요한 에너지이다.
그런 전기 분야를 다루는 전기공학은 어떤 분야보다 취업 진로가 폭넓다고 할 수 있다. 모든 건축물이나 가로등 등의 조명기구에는 전기설비가 설치되기 때문에 건축물 등을 신축하거나 리모델링할 경우에는 전기설비 또한 새롭게 설계 및 공사가 이뤄지게 된다.
따라서 전기설계와 전기공사 사업분야는 지속적으로 있을 수밖에 없고 그에 따라 인력 채용 또한 계속 이뤄지고 있다.
시설관리는 안정적으로 전력을 지속 공급하고 전기설비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전기설비 시설을 유지, 관리하는 업무로 대부분의 건물에는 전기설비 시설관리자가 있다. 전기기능사 자격증 소지자도 전기설비 시설관리자로 근무를 할 수 있지만 전기산업기사 이상의 자격증을 취득하게 되면 법적으로 보장되어 있는 전기안전관리자로 은퇴 연령 제한 없이 본인이 근무할 수 있을 때까지 업무를 할 수 있다. 또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분야인 태양광 발전 설비와 풍력 발전 설비의 시설관리도 전기 시설관리 업무에 해당된다.
대학원에서 석사 이상의 학위를 받게 되면 공공기관 연구원이나 민간기업 연구소에서 연구, 개발 업무를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전기, 전자 제품은 일반적으로 교류 220V의 강전 전압을 전원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기공학 연구, 개발 분야도 폭넓고 다양하다.
모터는 우리가 생활하는 데 있어 많은 편리함을 가져다 주는 기기이다. 모터는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컴퓨터 파워 쿨링팬, 자동차 전기모터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이 모터의 설계와 제어에 관련된 연구, 개발도 전기공학 전공자가 담당하고 있다.
또한 에어컨, 냉장고, TV 등의 전자제품과 인버터 등의 전력변환 기기의 연구, 개발 업무도 하게 된다.
이처럼 전기 분야는 취업 진로가 무척 폭넓고 다양하다.
또한 로봇 등의 발전으로 여러 분야에서 사람들이 일할 수 있는 업무가 점차 줄어들고 있지만 전기 분야는 사람이 직접 해야 할 일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일자리가 많을 것이다. 변화가 빠른 분야에서는 나이가 들면 업무 처리 속도가 뒤처질 수밖에 없지만, 전기분야는 변화가 크지 않으므로 나이와 상관없이 업무를 처리하는 데에 별다른 어려움이 없어 본인이 원할 때까지 근무할 수 있다.
대학 선택뿐만 아니라 전공 학과를 선택하는 데에 있어서도 많은 어려움을 겪을 학생들에게, 또한 재취업의 진로를 찾는 이들에게 이 글이 실용적인 전공을 선택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