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이슈현장]원주 간현생태공원 파크골프장 내 장애인 겸용 구장 진통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원주시, 간현리에 파크골프장 27홀 건립…9홀은 장애인 겸용
파크골프클럽 “장애인 겸용 반대…차라리 전용구장 설치해야”
장애인 파크골퍼들 "시내에서 이동 어려워"…미온적인 반응
시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기여…주민 의견 면밀히 검토할 것"

◇사진=강원일보DB.

【원주】원주지역에서 파크골프장 건립 추진이 잇따르고 있지만 장애인에게는 여전히 문턱이 높다.

더욱이 원주시가 지정면 생태공원 내 파크골프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장애인에게 우선권을 부여하는 방안을 내놨지만, 비장애인들이 반대 입장에 나서면서 진통을 겪고 있다. 장애인 파크골퍼들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탁상행정이라는 지적이다.

■간현생태공원 파크골프장 건립=시는 사업비 30억여원을 들여 지정면 간현리 간현생태공원 내에 8만6,000㎡ 규모의 파크골프장과 축구장, 주차장 등을 연내 조성할 방침이다. 시는 최근 주민설명회를 통해 기존 36홀에서 27홀로 규모를 축소하고, 이 중 9홀을 장애인 겸용 구장으로 만들겠다는 변경된 계획안을 내놨다.

장애인 겸용 구장의 경우 장애인에게 우선 이용권을 부여하고, 대기자가 없을 경우 비장애인 이용도 가능하다. 지역 내 장애인들이 편하게 파크골프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이 없다는 민원을 해결하기 위한 취지다.

지역 내 장애인 파크골프인 규모는 30여명에 불과하지만, 장애인 겸용 구장이 조성이 되면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측면에서 기여할 것이라는 게 시의 설명이다.

■“장애인 겸용 구장 반대”=지역 파크골프클럽은 장애인 겸용 구장 설치에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지역 내 한 파크골프클럽 관계자는 “파크골프 이용자 다수가 비장애인인데다 가뜩이나 부족한 시설에 장애인 겸용 구장까지 만드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지역 내 구장에서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의 마찰이 빚어졌던 만큼 차라리 다른 부지에 장애인 전용구장을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접근성 부족”=장애인 파크골프인들도 지정면에 구장이 설치되는 것에 대해 미온적인 반응이다.

한 장애인 파크골퍼는 “장애인들이 마음 편히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이 생기는 것은 환영한다. 다만 시내에서 간현생태공원까지 이동하려면 20여분 정도 걸릴 뿐 아니라 비용도 많이 들어가는 편”이라며 “그동안 원주천 등에 장애인 전용 구장 설치를 요구한 만큼, 장애인이 스포츠를 즐기기 위한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타 지역의 장애인 겸용 구장도 실질적으로는 소수의 장애인이 이용하고 있어 대기가 오래 걸리지 않는 사안”이며 “주민, 단체들의 의견을 면밀히 검토해 건립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답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