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3 조기 대선 레이스가 시작된 가운데, 국민의힘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는 30일 청년층의 학자금 대출 상환 부담을 대폭 완화하겠다고 밝혔다.
한 후보 캠프 전략총괄위원장 배현진·정책위원장 안상훈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학자금 대출 상환의무 소득 기준 상향과 최장 12개월의 '상환 방학' 제도 신설, 학자금 대리 상환 기업에 인센티브 지급 등을 담은 청년 학자금 부담 완화 공약 '당신이 성장할 때까지 국가가 기다리겠습니다'를 발표했다.
학자금 상환 의무가 생기는 연간 소득 기준을 현행 2천851만원(월 약 237만원)에서 3천658만원(월 약 304만원)으로 상향하고, 실직·질병 등의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는 상환유예 제도를 개편해 최장 12개월간 조건 없이 상환을 연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회초년생의 자산 형성과 생활 안정을 돕겠다는 것이 한 후보 측 설명이다.
아울러 일본의 '기업 학자금 대리 상환' 제도를 참고, 청년 근로자의 학자금을 대신 상환하는 기업에는 법인세 감면 등 인센티브를 줘 청년층의 학자금 부담 완화에 기업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사회적 여건을 만들겠다고 한 후보 측은 설명했다.
한 후보는 "학자금 대출 체납과 연체가 급속히 증가해 지난 한 해에만 1천913억원에 달한다"며 "걱정 없이 공부하라고 빌려준 학자금인 만큼 청년들이 더 성장할 때까지 국가가 기다려주는 인내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 후보는 대선 출마가 임박한 것으로 알려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의 단일화와 관련해 "당원과 국민이 선출한 (최종) 후보가 곧 나온다. 그 후보 중심으로 논의해 나갈 문제"라고 밝혔다.
한 후보는 이날 CBS 라디오에서 "국민의힘 당원도 아니고 출마 선언을 하지도 않은 사람과의 단일화까지 구체적으로 얘기하는 것은 경선의 힘을 빼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한 후보는 다만 "오해하시면 안 될 것이 저는 어떤 세력과도 후보가 되면 힘을 합칠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지금은 공통점을 찾을 때지 차이점을 찾을 때가 아니다"라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대통령이) 됐을 때 대한민국이 위험해지는 것을 막겠다는 생각과 자유민주주의와 공화주의에 동의하는 상식적인 정치를 하는 분이라면 누구에게도 손을 잡자고 할 것"이라고 했다.
새미래민주당 이낙연 상임고문,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와의 연대론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가능성이 다 열려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자신이 최종 2인 경선에 진출하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결국 제가 이기는 선택이라는 점을 (당원들이) 집단지성으로 선택하신 것"이라며 "일반적으로 정치에 관심이 적으신 분들보다 오히려 당심이 훨씬 더 전략적인 판단을 한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