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일본 등과 통상 협상에 나섰던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의 지난 29일(현지시간) 발언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베선트 장관이 "이들 국가의 정부는 선거 전에 무역협정의 틀을 마련해 미국과의 협상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선거 전에 무역 협상의 기본 틀(framework)을 마련하는 것을 원하고 있다"고 전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박지원 의원은 30일 당시 협상에 우리 측 대표로 참여했던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에게 사실 여부를 따져 물었다.
박 의원은 이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안 장관에게 "이게 만약 사실이라면 한덕수 대행은 매국노이며, 최상목 경제부총리나 안 장관은 '제2 이완용'의 졸개가 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안 장관은 “미국과 2+2 통상 협의 결과, 절대 대선 날인 6월 3일까지 관세 협상의 결론을 낼 수 있는 절차적 준비가 안 되어 있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지난번 2+2 통상 협의에서는 7월까지의 상호관세 유예 기간 저희가 협의를 하는 것으로 했다"며 차기 정부 출범 전까지 한미 간 관세 협상을 마무리짓지 않겠다는 기존 정부 입장을 재확인했다.

또, "오히려 7월 8일까지의 상호관세 유예 기간에도 양국 간 협의가 완성이 안 되는 이슈들이 많이 있다"며 "미국 무역대표부(USTR)와 저희는 협의가 안 된 이슈들인 '그룹 1·그룹 2' 등 뒤로 넘어가야 하는 이슈들까지도 지금 논의를 하고 있기 때문에 그 전에 (협상 완료) 한다는 것은 생각을 해본 적이 없다"고 덧붙였다.
안 장관은 "국익을 위해 최선을 다해서 저희가 차분하고 진지하게 협상에 임하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최 부총리도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 나와 베선트 장관의 발언에 대해 "나도 어제 발언을 보고 당황해서 원문을 찾아보니 그렇게 돼 있어 100일 취임 기자회견에서 '국내용으로 얘기했구나'라고 이해했다"며 "미국 재무부에 발언 배경을 요청해놨다"고 밝혔다.
앞서 베선트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100일 경제 성과 브리핑에서 한국의 6·3 대선, 일본의 7월 참의원 선거 등 아시아 국가들의 주요 정치 일정 탓에 협상 타결이 늦어질 가능성과 관련, '오히려 선거 전에 기본 틀을 만들기를 바란다'는 취지의 발언을 해 정치권에서는 이에 대한 진위 여부를 두고 논란이 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