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SKT와 공동 취약계층 안부 확인 서비스 공동 운영중인 시·군 불안감 확산

SKT 유심 해킹 사건 정식 수사 전환…사이버수사대 전담팀 편성
강원지역 경찰·소방·지자체·소상공인까지 개인정보 유출 피해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가 3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에서 열린 방송통신 분야 청문회에서 유심 해킹 사태에 대해 사과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SK텔레콤이 가입자 정보 해킹 사태의 대응책으로 유심(USIM) 무상 교체를 시작, 이용자들의 ‘유심 대란’이 발생한 가운데 SKT 메인 서버에서 개인정보가 유출된 정황까지 드러나며, 강원도 역시 초긴장 상태에 빠졌다.

춘천, 원주, 강릉 등 강원특별자치도내 일부 시군은 SKT 등과 업무 협약을 맺고 1인 가구나 취약계층의 안부를 확인하는 ‘1인 가구 안부살핌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하지만 복지 서비스 대상자의 이름, 나이, 주소 등 개인정보를 SKT 등과 함께 관리해왔다는 점에서 주민들의 우려가 잇따르고 있다. 춘천시 관계자는 “현재까지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피해 사례는 없지만, 급히 대책을 논의하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악의 내수 부진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들 역시 피해 우려에 휩싸였다. 다수의 사업자들은 매장 자산이나 고객 정보를 휴대전화 속 앱(APP)으로 관리하고 있어, 유심 해킹으로 인해 사업 정보 전체가 유출될 수 있는 불안감에 휩싸였다. 이극상 강원소상공인연합회 회장은 “유심 해킹으로 인해 매장이 도용되는 사고가 발생한다면 심각한 피해가 뒤따를 것”이라며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신속한 대응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호소했다.

강원지역 경찰, 소방, 시·군 공무원들도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에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다. 강원경찰청과 강원소방본부는 SKT 유선 가입 업무용 휴대전화의 유심을 교체하며 대응에 나섰다. 강원도 내 한 지자체 행정복지센터에 근무 중인 최모(27)씨는 “해킹된 유심 정보를 통해 주민이나 기관 내부 자료에 접근할 수 있는 것 아니냐”며 불안을 털어놨다.

경찰 관계자는 “국내외 공조 체계를 가동해 악성코드 침입 등 해킹의 경위와 배후에 대해 본격적인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국민적 관심과 우려가 큰 사안인 만큼, 사이버 수사 전문 인력을 중심으로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수사를 벌이겠다”고 밝혔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