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전 대통령의 멘토로 불린 신평 변호사는 13일 "이번이 아니라, 개헌이 이루어지고 난 다음의 대통령 선거에서 그의 당선가능성이 가장 높지 않을까 감히 예측한다"고 밝혔다.
신 변호사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나는 여전히 그의 착한 심성과 높은 인격, 풍부한 교양을 신뢰하고, 또 지금의 한국 정계에서 대체불가로 그가 지닌 탁월한 리더십과 카리스마를 존중한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명예훼손 고발 사건에 대해 언급한 신 변호사는 "나는 지금까지 ‘윤 전 대통령의 멘토’가 아니라고 무려 수십 번에 걸쳐 부인했으니 그 말을 수사과정에서도 사용하지는 말아달라고 했다"라며 "그리고 그는 나를 많이 버거워했다는 말을 했다"고 전했다.
이어 "솔직히 말해, 나는 그를 통해 우리 사회의 대개혁을 향한 조치가 실시되는 대리만족의 기쁨을 누리려 했다"라며 "그 중의 하나로, 조국 교수와 같은 ‘진보귀족’들에 의해 만들어져 사회적 사다리를 하나 끊은 ‘로스쿨 제도’를 개선시키려고 노력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로스쿨은 이미 강고한 기득권세력으로 들어앉아 대통령의 결심이 서지 않으면 그 개선은 불가능했다. 그러나 그는 아마 수십 차례에 걸친 내 진지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해 한 톨의 관심도 보이지 않고 무시했다"고 지적했다.
신 변호사는 "그러나 계엄 이후 나는 오로지 그의 대통령직 무사귀환을 바라며 그에 대한 비판은 완전히 접었다"라며 "사람이 물에 빠졌는데 구할 생각을 하지 않고 그 사람의 잘못을 따져서는 안 된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또, "어쨌든 그는 구속 상태에서 풀려나 영웅적 귀환을 했다. 나는 이를 반기며 그의 정치적 행로에 도움이 될 요량으로 ‘새로운 대한민국’이라는 책을 준비했다"라고 전했다.
신 변호사는 "바로 그 무렵인데 역시 그의 심복인 김계리 변호사가 나에게 긴 메시지를 보내었다"라며 "나이로 굳이 따지자면 김 변호사는 내 딸벌인 사람이나, 이루 말할 수 없이 원색적이고 마구잡이 어조로 비난했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내가 그동안 윤 전 대통령의 멘토팔이를 해온 몹쓸 인간이고, 이제 다시 책을 팔아 돈을 챙기려 드는구나 하고 신랄하게 조롱하였다"라며 "이것이 윤 전 대통령과 나와의 사이에서 일어난 일의 개략이다"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