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밀반입·유통·10대까지, 일상화되고 있는 마약

강원특별자치도가 더 이상 마약 안전지대가 아니다. 대검찰청의 ‘마약류 범죄 백서’에 따르면 지난 5년간 강원도에서 적발된 마약사범이 2,974명에 달한다. 올해도 4월까지 이미 146명이 검거됐고, 이는 단순한 수치 너머로 마약이 지역사회 깊숙이 파고들고 있음을 방증한다. 더욱 우려스러운 것은 밀반입, 제조, 유통뿐 아니라 소비까지 도내에서 이뤄지며 마약이 일상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강릉 옥계항에서 적발된 1,988㎏ 규모의 코카인 밀수 시도는 그 충격의 정점이다. 시가 8,450억원 상당의 이 물량은 5,700만명이 동시에 투약할 수 있는 수준으로, 단순한 범죄를 넘어 국가 안보에 직결되는 사안이다. 또한 횡성에서 고체 코카인을 제조해 유통하려던 국제 마약 조직도 검거됐다. 이것은 도가 마약 제조 및 유통의 중간 거점으로 악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문제는 단지 외부 세력의 침입에 그치지 않는다. 지역 내 소비도 함께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청소년과 청년층의 마약 접근성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전국 기준으로 20대와 30대가 전체 마약사범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10대 비율도 3%에 이른다. SNS, 비대면 거래 등 디지털 매체를 통해 마약이 유통되는 경로는 감시망을 교묘히 피해가며 확산되고 있다. 도 역시 예외일 수 없다. 도는 청정 자연과 관광자원을 바탕으로 한 지속 가능한 지역 발전을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마약은 이러한 비전의 근간을 뒤흔든다. 사회 전반의 건전성을 해치고, 지역 공동체를 파괴하며, 특히 미래를 이끌 청소년 세대에 치명적인 상처를 남긴다. 마약은 통상적인 범죄가 아니라 지역사회의 생명력을 갉아먹는 사회악이다.

이에 따라 도와 경찰·검찰 등 사법기관은 마약 유통 경로를 철저히 차단하고, 지역사회 전반에 걸친 대응 체계를 빈틈없이 갖춰야 한다. 공항, 항만, 물류 거점 등 밀반입 가능성이 높은 지역에 대한 감시를 대폭적으로 확대하고, 외국인 선원이나 다국적 조직과 연결된 범죄망을 근절해야 할 때다. 더불어 청소년 대상 예방 교육과 부모, 교사, 지역사회와 연계한 감시 및 지원 시스템도 강화돼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민들의 인식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마약 문제가 일부 계층의 일탈이라는 인식을 넘어 언제, 어디서든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는 위험임을 명확히 인지해야 한다. 마약 없는 건강한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모든 도민의 경각심과 공동체의 연대가 요구된다.

지선 1년 앞으로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