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중언

[언중언]사과와 배신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일러스트=조남원 기자.

최근 양양지역사회에서 사과(謝過)와 배신((背信)이라는 말이 심심치 않게 회자된다. 사과의 국어사전적 풀이는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용서를 빈다는 뜻이다. 사과에 앞서 보여야 할 행동이 반성(反省)이다. 반성이란 자신의 언행에 대해 잘못이나 부족함이 없는지 돌이켜 본다는 뜻이다. 사과가 필요한 시점에 반성 대신 변명으로 일관하면 상대방은 실망과 함께 배신을 당했다고 표현한다. ▼지난 6개월간 이어졌던 김진하 양양군수의 재판이 법원의 판단으로 일단락됐다. 김 군수는 지난 1월 여성민원인으로부터 금품을 수수하고 강제추행한 혐의로 구속됐다. 이후 기소가 이뤄졌고 지난달 말 재판부가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위반, 뇌물수수 등 혐의로 징역 2년을 선고했다. 1심 재판부는 김 군수의 2차례 성관계와 현금 500만원 수수 등 청탁금지법위반은 유죄, 강제추행은 무죄로 판단했다. ▼재판부가 김 군수에 내린 양형에 대한 이유가 눈길을 끈다. 김 군수의 뇌물수수로 양양군 소속 공무원들과 양양군민들의 실망감이 상당할 것이라고 봤다. 그럼에도 자신의 잘못을 전혀 반성하지 않은 채 납득하기 어려운 변명으로 일관하고 있어 엄중한 처벌이 필요하다고 적시했다. 특히 3선 군수로서 범행에 대한 죄책이 무겁다고 강조했다. 이렇듯 김진하 군수 사건의 최대 피해자는 대다수 양양군민이라 할 수 있다. 잘하라고 세 번이나 표를 주고 뽑아줬는데 뇌물수수라는 참담한 결과로 나타난 것에 대한 군민들의 배신감은 엄청나리라 본다. ▼문제는 아직까지 김 군수가 군민들에게 공식적인 사과 한마디 안 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어떤 군민은 김 군수에게 내려진 형량보다 그를 믿고 신뢰했지만 이를 배신한 것에 대한 충격이 크다고 토로했다. 김 군수가 1심에 불복해 항소를 제기한 만큼 유무죄의 최종 판단은 아직 남아 있다. 하지만 재판과정에서 드러난 사실과 발언에 있어 자신을 믿고 지지해준 군민들에 대한 사과가 먼저 아닐까 생각해본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