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전국 아기울음 소리 느는데 … 강원만 유일하게 줄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통계청 '5월 인구 동향' 23일 발표
전국기준 14년 만에 증가율 최고치
강원 5월 498명 출생, 전월比 감소
1~5월 누계치는 2,757명 -3.5%

출처=통계청 5월 인구동향

올들어 전국적으로 출생아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강원자치도만 유일하게 마이너스를 기록, 인구절벽 가속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강원지역에서 498명이 태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1~5월 누계 출생아는 2,757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3.5% 줄었다.

5월까지 누계 출생아 수가 감소한 지역은 전국 17개 시·도 중 강원도가 유일하다. 서울(9.1%), 경기(7.8%), 인천(12.3%) 등 수도권을 비롯해 인구 절벽으로 고민이 큰 전남(7%), 충북(11.4%)도 출생아 수가 늘었다.

강원을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출생아 수가 늘면서 5월 전국 출생아 수는 1년 전 보다 741명(3.8%)이 늘어난 2만 309명이었다. 2021년 5월(2만1,922명)이후 같은 달 기준 4년 만에 가장 많은 수준이고, 증가율은 14년 만에 가장 높았다. 올해 1~5월 누계 출생아 수는 10만6,48명을 기록했다.

강원지역 사망자수는 5월 기준 1,123명으로 출생아 수의 두 배 이상이다. 1~5월 누계 6,384명이 사망, 전년 같은 기간 보다 5.5% 증가했다. 출생아 대비 사망자 수가 높아 도내에서는 5월 한 달간 625명이 자연감소했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에 따르면 올해 6월말 도 전체 인구는 151만615명으로 같은 달 기준 △2023년 153만2,617명 △2024년 152만2,542명 등 최근 3년간 연평균 9,400여명씩 줄었다. 현 추세라면 내년에는 150만명 선이 무너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올해 5월 기준 혼인 건수가 전년 보다 2.2% 상승하면서 출생아 수 증가에 긍정적인 신호가 될 수있다.

김석중 강원연구원 연구위원은 “인구를 구성하는 요소를 세분화하고 실제로 특정지역에 체류하는 모든 인구를 정확히 진단해 실질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