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년을 만 65세까지 연장하는 방안에 대해 청년층과 중장년층의 인식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미취업 청년층은 신규 채용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한 반면 중장년층은 대체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구직 활동 중인 미취업 청년(20~34세) 500명과 중장년 재직자(최소 15년 이상 정규직 경력) 500명에게 각각 ‘법정 정년이 60세에서 65세로 연장되면 청년층 신규 채용에 미칠 영향'에 대해 물은 결과, 미취업 청년은 61.2%가 '채용이 감소할 것'이라고 답했다.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의견은 32.4%, ‘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은 6.4%로 집계됐다.
반대로 중장년 재직자는 50.6%가 ‘영향이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신규 채용이 줄어들 것’(43%), ‘증가할 것’(6.4%) 등의 순이었다.
법정 정년이 연장되면 조직 내 고령자 비율이 높아져 업무·작업 효율 감소 우려에 대해서는 미취업 청년 59%가 ‘동의한다’고 답했다. 중장년 재직자 62.6%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했다.
조직 내에 고령자 비율이 높아질수록 세대 갈등이 심화할 것으로 우려되는지에는 미취업 청년의 80.8%가, 중장년 재직자의 63.2%가 ‘동의한다’고 답했다.
임영태 경총 고용·사회정책본부장은 “미취업 청년들은 법정 정년 연장 시 청년 일자리 감소 등에 대한 상당한 불안감을 느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며 “고령자의 노후 안정을 위해 청년의 기회를 희생시키는 제도가 되지 않도록 '퇴직 후 재고용' 같이 세대가 함께할 수 있는 일자리 정책이 적극 검토돼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