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폭염 1만5,000마리 폐사, 가축관리 더욱 촘촘해야

연일 계속되는 역대급 폭염으로 강원특별자치도 전역이 뜨거운 재난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그 피해는 인명에만 그치지 않는다. 가축 폐사가 1만5,000마리를 넘어섰고, 농산물 생산 차질로 물가 불안도 고개를 들고 있다. 축산과 농업 기반이 지역경제의 핵심인 도 입장에서는 결코 가볍게 넘길 수 없는 위기다.

현장 농민과 축산 농가의 고통은 말할 수 없을 정도다. 보다 실효성 있는 대응책과 구조적 대안 마련이 그 어느 때보다 시급하다. 폭염은 자연재난이다. 그러나 피해를 줄이기 위한 시스템 구축은 인재(人災)의 영역이다. 도는 지난 24일부터 폭염 대응 재난안전대책본부 2단계를 가동하고 있지만 그간의 대책은 피해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축사 내 선풍기와 안개분무시설, 차광막 설치 등 기존 방식이 반복되지만 효과는 제한적이고 상황은 악화일로다.

일부 지역에서는 축사 전기설비 문제로 정전 사고까지 발생하며 가축 폐사를 부추기고 있다. 이는 단기 처방의 한계를 드러내는 사례다. 현실은 이미 한계선에 다다랐다. 고온 환경에 장시간 노출된 소와 돼지, 닭 등의 가축은 폐사뿐 아니라 생산성 저하와 질병 감염 위험도 커진다. 이것은 곧 축산물 공급 불안과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며 소비자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더불어 고랭지 배추·무 재배 농가도 불볕더위에 수확량 감소와 품질 하락으로 직격탄을 맞았다. 도의 여름철 농산물 생산은 전국 물가 안정의 버팀목 역할을 해 왔다. 하지만 올해는 이 기조가 위협받고 있다.

도와 각 시·군은 축산 농가에 대해 단순 점검뿐 아니라 기술 지원 위주의 현장 밀착 행정을 강화해야 한다. 환기시설, 안개분무기 등 기존 장비의 점검과 유지관리 외에도, 최신 온도센서 기반 자동 냉각시스템 도입 등 장기적 설비 개선을 유도해야 할 때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이를 위한 재정 지원을 적극 검토해야 하며, 특히 중소 농가를 위한 맞춤형 지원책이 필요하다. 재난에 취약한 영세 농가가 피해의 중심이 되는 구조는 더 이상 반복돼선 안 된다.

또한 인명 피해 방지에도 더욱 집중해야 한다. 올여름 강원지역 온열질환자는 이미 80명을 넘어섰고, 주로 야외작업장이나 논밭 등에서 발생했다. 이는 개인의 건강 문제가 아니라, 농촌 고령화와 노동력 구조의 열악함을 반영하는 사회적 문제다. 무더위쉼터 운영 확대, 폭염 특보 발령 시 야외 작업 자제 권고, 농민 대상 온열질환 예방 교육 등이 병행돼야 한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