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 당국이 4일 전방 지역에 설치된 대북 확성기 철거 작업에 들어갔다. 이는 남북 간 군사적 긴장 완화를 위한 조치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국방부는 이날 "군의 대비 태세에 영향이 없는 범위 내에서 남북 간 긴장 완화에 도움이 되는 실질적 조치를 시행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철거 대상은 고정식 대북 확성기 전량인 20여 개로, 2∼3일 내 철거가 완료될 예정이다.
이동식 확성기 10여 개는 지난 6월 대북 방송을 중단하면서 이미 철수했다.
앞서 군 당국은 이재명 정부가 출범한 직후인 지난 6월 11일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단했다. 윤석열 정부에서 대남 오물풍선 살포에 대응해 대북 방송을 재개한 지 1년여만이다. 이에 북한도 대남 소음방송을 중단한 바 있다.
이경호 국방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대북 확성기 철거 배경에 대해 "지난 6월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지한 후 후속 조치 차원에서 국방부에서 관련 논의가 있었다"면서 "관련 부서와 협의도 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번 대북 확성기 철거는 북한과 협의를 거친 것은 아니라고 합동참모본부는 전했다.
북한도 이번 조치에 호응해 대남 확성기를 철거할지 주목된다.
이성준 합참 공보실장은 북한군 동향에 대해 "확성기를 일부 정비하는 모습이 있었고 철거하는 모습은 없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