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삼표시멘트(주)가 2공장 부지의 용도를 변경하려는 도시계획심의가 ‘재심의’로 잠정 결론났다.
삼척항 주변 10만5,807㎡(3만여평)의 부지인 2공장 부지는 삼표시멘트가 복합관광단지로 개발하기 위해 지목상 공업지역을 준공업지역으로 용도변경을 추진하고 있다. (관련기사 본보 지난 7일자 14면 보도)
이와 관련 삼척시 도시계획위원회가 해당 부지의 용도변경건을 안건으로 입안할 것인지를 심의한 결과, 재심의로 결정됐다.
■“복합관광단지로 개발 추진”=삼표시멘트는 2공장 부지에 1,500억원 이상을 투자해 1단계 주차장과 광장 등 공공용지 개발에 이어 2단계 야영장, 3단계 테마형 숙박시설인 복합문화용지, 4단계 숙박시설과 공동주택을 신축할 계획이다.
수십년간 공장이 가동되지 않고, 자재창고와 협력업체 사무실로 이용되면서 흉물로 방치돼 온 공장부지에 삼척시가 개발사업을 제안했고, 삼표그룹측이 2030년까지 복합관광단지로 개발하겠다고 화답했다.
삼표측은 재심의 방침에 대해 “도시계획위원회 심의결과를 토대로 사업계획을 검토하고, 사업추진 의지를 밝혀 다시 제안하겠다”는 입장이다.
■“지가상승 따른 공공기여도 조정 필요”=지난 8일 열린 도시계획위원회에서는 위원들간 논의끝에 참석자 15명 중 9명이 재심의에 동의했다.
일부 위원들은 1~4단계의 단계적 개발계획 구상에 대해 사업자측의 추진의지에 반론을 제기했고, 지가상승을 감안해 삼표측이 제시한 10.02%의 공공기여도가 현저히 낮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했다.
이광우 위원(시의원)은 “공장부지의 용도 변경이후 개발사업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위원회가 책임을 져야할 사안이며, 4단계 사업계획을 1단계로 곧바로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양희전 위원(시의원)은 “용도변경시 주거와 복합문화공간 등 사업이 가능해지고 토지상승가치를 고려할 때 부지를 제공하거나 공공건축물을 신축해 시에 기부채납하는 등 방안이 요구된다”며 “삼표측이 제시한 ‘도로 확장과 주차장, 공원 확보 등의 공공기여도는 사업추진에 필요한 기반조성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또 위원들은 2030년에나 시작한다는 4단계 개발사업의 실행단계가 너무 늦고, 공장부지내 타 기업 레미콘공장을 매입하지 않는 점 등을 들어 사업추진 의지가 약하다는 평가를 내렸다.
■“개발시 문화예술관광공간 시너지 효과 기대”=삼척시는 공장부지 인근에 이사부독도기념관이 개장됐고, 삼척항내 도시재생사업이 준공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공장부지가 관광단지로 개발될 경우 인근 장미공원과 함께 문화예술관광공간으로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민들 또한 수십년동안 흉물로 방치돼 온 공장부지가 정라항 관문으로 관광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해 탈바꿈돼야 한다며 향토기업이 의지를 갖고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데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김모(65)씨는 “사업을 착수한 뒤 장기간 진행이 되지 않을 경우를 감안해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등 법적장치가 필요하고, 특혜성 논란을 피하기 위해서는 공공기여도 비율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