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가 직면한 현실은 소위 ‘인구절벽’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산과 바다, 청정 자연환경에 기대기만 해서는 더 이상 지역을 지탱할 수 없다. 안정적인 일자리가 있어야 인구 정착이 가능하고, 결혼과 출산으로 이어지는 선순환이 만들어진다. 그러나 현재 강원도는 이 순환 고리가 무너진 채 청년들을 대도시로 떠나보내고 있다.
2025년 상반기 기준 강원도의 20~30대 청년 순유출 인구는 3,336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871명)보다 16% 증가했다. 전 연령층 순유출 인구를 따져 보아도, 지난해 상반기 1,582명에서 올해 상반기 3,058명으로 규모가 두 배 가까이 늘었으며, 원주를 제외한 17개 시·군에서 모두 인구가 감소했다. 강릉은 1,700명 이상, 속초 1,100명 이상, 동해와 삼척도 각각 900명 안팎의 감소를 기록했다. 특히 수도권으로 빠져나가는 청년 인구가 2022년 3,013명, 2023년 3,904명, 2024년 4,024명으로 매년 늘어나는 등 수도권 집중 현상이 갈수록 뚜렷하다. 이는 단순한 인구 이동 현상을 넘어 강원도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징조라 할 수 있다.
청년들은 왜 강원도를 떠나는가. 가장 큰 이유는 일자리 부족이다. 강원도의 고용률과 소득 수준은 수도권과 비교해 낮고,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 역시 부족하다. 교육·주거·복지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점도 이주를 재촉한다. 단기성 공공 일자리나 보조성 일자리로는 청년들의 정착을 이끌 수 없다. 장래를 보장해 줄 직업군의 부재가 곧 지역 이탈로 이어지고 있다. 결국 청년들이 느끼는 불안감이 곧 정착 대신 이탈을 선택하게 만드는 결정적 요인이다.
단순한 미봉책이 아닌 장기적이고 구조적인 해법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강원도의 특성과 잠재력을 살린 안정적이고 질 높은 ‘강원형 일자리’ 개발이 시급하다. 문화·관광, 농·수·임업 등 기존 산업을 고부가가치화하고, 디지털 콘텐츠·바이오·에너지 등 신산업에도 적극 투자해야 한다. 공공부문이 마중물 역할을 하고 민간기업을 적극 유치하여, 청년들이 안심하고 도전할 수 있는 일자리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 관건이다. 임금과 근무 조건, 성장 가능성을 갖춘 직업군이 충분히 마련될 때 비로소 청년들은 강원도에서 오랜 미래를 꿈꿀 수 있을 것이다.
일자리 문제는 결혼·출산 문제와 분리될 수 없다. 안정적 직장을 기반으로 한 주거 지원, 신혼부부와 젊은 가구를 위한 정책, 보육·교육 인프라 확충, 혼인·출산 인센티브가 함께 마련되어야 한다. 일자리-결혼-출산이 유기적으로 이어지는 정책의 연계성을 확보해야 청년이 떠나지 않고 머무를 수 있다. 이 과정에서는 도와 시군 차원의 맞춤형 전략이 필요하다. 인구 유출이 특히 심각한 지역을 중심으로 청년 수요를 정확히 파악하고, 지역 여건에 맞는 산업과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청년층, 정책 관계자, 시군과 도가 함께 참여하는 거버넌스를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것도 빼놓을 수 없다.
강원이 지금 선택해야 할 길은 분명하다. 청년이 머물고 싶은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일자리가 없으면 정착도, 결혼도, 출산도 없다. 통계가 보여주는 냉정한 현실을 직시하고 청년 유출을 막기 위한 장기적 전략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 청년이 떠나면 지역은 미래를 잃는다. 강원도가 절벽 끝에서 새로운 길을 찾을 수 있을지는 현재의 준비와 선택에 달려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