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 양당이 각각 지방선거 공천룰 개정과 선출직 공직자 평가 발표에 나서면서 강원 지역 입지자들도 평가 기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선을 6개월여 앞둔 상태에서 기준 변화에 따라 선거 승패가 좌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민주 1인1표제 전당원투표=더불어민주당은 그동안 당 대표·최고위원 선출 시 대의원과 권리당원 투표 반영 비율을 20대1 미만으로 했던 규정을 개정해 투표권을 동일하게 부여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1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를 통해 이 내용을 안건으로 하는 전(全) 당원 투표를 오는 19∼20일 진행한다고 밝혔다.
대의원이든 권리당원이든 1인 1표를 행사하는 방안은 정 대표가 대표 경선 공약으로 내걸어왔다. 정청래 대표는 "이것이 보통·평등·직접·비밀선거를 보장하고 있는 헌법 정신"이라고 말했다.
다만 강원도내 당원들 사이에도 1인1표 대한 의견은 갈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원 주권주의 측면에서 찬성하는 입장도 있지만, 험지나 당내 소수 집단 의견이 소외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또 민주당은 지방선거 경선 후보자가 4명 이상을 경우에는 예비 경선을 시행하는 규정도 신설했다. 기초·광역 비례대표 선출 방식도 변경할 예정이다. 현재는 각급 상무위원이 비례대표 순위를 선정하지만, 개정안에 따라 권리당원의 100% 투표로 순위를 선정한다.
■국힘 선출직 공직자 평가체계 발표=국민의힘은 현역 시도지사 및 기초단체장을 대상으로 정량지표, 여론조사, 개인 프레젠테이션(PT)을 토대로 하는 평가를 실시해 공천에 반영하기로 했다. 강원 현역 단체장들도 임기 중 주요 성과, 지역 특화 정책을 중심으로 당 전체 공약으로 확장 가능한 사례를 설명하는 개인 PT에 참여하게 된다.
국민의힘 선출직 공직자 평가혁신 태스크포스(TF)는 17일 이 같은 내용의 평가 체계를 마련, 최고위원회의에 보고했다고 밝혔다. 당헌·당규 제·개정을 거쳐 평가 체계를 확정한 뒤 다음 달 중 평가를 실시할 예정이다. 평가는 현역 광역·기초단체장에 대해 정량지표(50%), 여론조사(30%), 개인 PT(20%)에 가·감점(-10∼+10점)으로 이뤄진다. 정량지표는 △경제 지표(지역고용률·예산 확보·기업 유치 등) 40점 △리더십 지표(단체 청렴도·주민 소통·언론과 SNS·공약 추진율 등) 30점 △당 기여 지표 30점으로 구성된다.
정점식 TF 위원장은 "국가기관의 공식 통계와 공신력 있는 평가 자료를 활용해 당 소속 단체장이 민선 8기 동안 어느 정도 지역 발전에 기여했는지 평가할 예정"이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