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이슈현장]무탄소 청정에너지 도시로의 전환 '보존을 통한 개발' 눈 뜰 때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구 장성광업소 부지·수직갱·수평갱 등 활용 무탄소 청정에너지 도시로 대전환 추진
수몰 방식의 광해 복구조치 지역 사회 강경 반대…주민수용성 높은 정책 추진 필요

【태백】한 때 13만명이 넘는 인구가 살아가던 태백은 석탄 산업 쇠퇴로 3만명 남짓의 작은 도시가 됐다.

하지만 태백 경제진흥개발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가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를 통과하며 1조원 이상의 대체산업 투입이 가시화 되며 지역이 다시 활기를 띄고 있다. 과거 100년, 태백은 물론 국내 산업을 지탱해온 탄광유산의 보존과 활용방안을 짚어본다.

■탄광의 기억을 어떻게 미래로 만들 것인가=

폐광지역의 쇠퇴는 단순히 산업의 종말이 아니라 공동체 해체로 이어졌다. 13만명이 넘던 태백의 인구는 지난 9월 기준 3만7,376명으로 줄었다. 지난해 태백의 마지막 광업소인 장성광업소가 문을 닫으며 광부들이 살던 사택촌, 선탄시설, 철암역 주변의 철도 인프라 등 다양한 시설들이 탄광유산으로 남게 됐다.

지난달 28일 태백시문화예술회관에서 강원특별자치도·태백시·강원일보사 주최·주관으로 열린 '탄광자산을 활용한 보존과 개발 정책 토론회'에서는 이러한 탄광유산을 어떻게 할 것인가가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

김보람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전문관은 "탄광유산은 인간의 노동, 희생, 그리고 공동체의 기억이 남은 사회사적 자산"이라며 '보존을 통한 개발'의 핵심 축으로 삼는 전략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탄광자산을 활용한 보존과 개발 정책 토론회'가 지난달 28일 태백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 가운데 김보람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전문관이 '태백시 관광 유산의 보존 및 관리 방향'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강원일보DB>

■'보존을 통한 개발'의 역설=

탄광유산의 보존은 개발을 막는 장애물이 아니다.

'석탄도시에서 무탄소 청정에너지 도시'로의 대 전환을 추진하고 있는 태백시는 경제진흥개발사업을 통해 과거 탄광유산을 활용한 다양한 산업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청정메탄올 사업의 경우 구 장성광업소 부지를 청정메탄올 사업 부지로 활용하고 수평갱도를 통해 생산물을 철암역 인근 물류시설로 운송하는 등 기존 석탄산업의 인프라를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과거 석탄 수송을 위한 철도 인프라는 추후 청정연료 운송을 위한 물류 허브로 작동하게 된다. 향후 미래가치가 있는 900여m의 제2수갱 수직갱 등을 활용해 우주바이오 등을 연구하는 방안도 제안하고 있다. 또 광부사택촌은 기억과 삶이 공존하는 문화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다.

■탄광유산 어떻게 될 것인가=

그동안 한국광해광업공단에서는 폐광산 지하 갱도의 경우 대부분 수몰 방식의 광해 복구조치를 시행해 왔다.

장성광업소 역시 갱도 수몰 계획이 추진됐지만 태백 지역사회의 강경한 반대에 부딪히며 현재 보류된 상태다.

이날 토론회에서 한 주민은 "국내 유일하게 존재하는 장성광업소의 산업 유산인 900m 수직갱이 수몰된다면 무슨 소용이냐"고 역설하기도 했다.

장성광업소 광해복구 방식에 대해서는 산업부가 참여하는 실무협의체에서 논의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독일 루르, 대만 허우통 등 해외 사례를 봐도 태백의 탄광 유산의 보전과 지역경제 활성화가 병행될 수 있다"며 "태백이 석탄에서 청정에너지로 전환한 상징 도시로 다시 태어나기 위해서는 주민수용성 없는 일방적인 정책 추진이 지양 돼야 한다"고 밝혔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