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발표
◇우항수 울산테크노파크 연구위원=‘동해안권 화력발전소를 활용한 지역경제 활성화’(우항수 울산테크노파크 연구위원)=“나무 에너지에서 석탄 에너지로 바뀌는 것은 에너지전환이지만, 탄소 에너지에서 수소 에너지로 변하는 것이 에너지변환이다. 기술이 산업혁명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다. 에너지변환이 산업혁명이며 에너지 패러다임이다. 2000년대초에는 플라스틱 사용량이 국력을 비교하는 일부 수단이 됐지만, 이제는 이산화탄소를 전환하는 능력과 지혜, 수소가 국가의 산업발전을 예측하는 물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에너지가 바뀔 때 에너지를 잘 활용할 수 있는 장치를 갖고 있는 국가가 패권을 잡게 된다. 분산에너지에 대해 지역에서 목소리를 더 내야 하며, 저렴한 전기로 기업을 유치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
■토론
◇김주헌 한국동서발전 수소사업팀장=“영동권이 송전제약으로 재생에너지 인허가가 지체되고, 기존 화력발전소 가동률 떨어지면서, 전력 생산기지로서의 지위, 지역 일자리, 지방세 기반도 줄여들고 있는 실정이다. 에너지 전환 변두리 지역으로 전락될까 우려된다. 그러나 우리 스스로를 ‘전기를 만드는 지역’이 아니라 ‘에너지를 가공해서 공급’하는, 즉 에너지 전환 허브로 선언해야 한다. 영동권이 문제지역이 아니라 국내 재생에너지 확대와 전력계통 안정을 동시에 달성하려면 반드시 필요한 실증무대이다. 필요한 건 기술이 아니라 제도적 선언과 투자 우선 순위이다.”
◇이원학 강원연구원 미래산업연구부 선임연구위원=“강원특별자치도는 미래산업글로벌도시로 컨셉을 잡고, 미래에너지 5대 전략산업으로 수소, 풍력, CCUS 등을 추진하고 있다. 행정조직 또한 에너지과와 수소과로 기구를 확대해 운영하고 있다.
에너지 전환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새로운 산업을 육성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비수도권 지역의 전기요금 차등제가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는 확정할 수 없지만, 가정용 보다는 신규 사업에 한해 산업용 전기에 대해서는 추진할 제도적 기반이 마련돼야 한다.”
◇변철현 삼척시 에너지정책팀장=“발전소 가동률이 저하돼 지역경제 전반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발전소 소재지역내 기업 또는 공공시설에 대해 전력요금 할인, 세제지원, 투자보조금 등 실질적 혜택을 부여하고, 발전소 주변지역을 ‘분산에너지 시범지역’으로 지정해 제도적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동해안권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지역 산업단지, 데이터센터 등에 우선 공급해 저렴한 요금으로 안정적 전력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전력 다소비형 기업(데이터센터, 반도체, 배터리 등) 유치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 정부의 분산에너지 정책 기조와 연계해 전력요금 할인, 지역 인센티브 제공, ESS 구축 등 현실적 대안을 추진해 ‘에너지 기반 지역균형발전 모델’을 구현해야 할 때이다.”
◇좌장:이상협 국가녹색기술연구소장=“수소산업에 대해 강원도가 선제적으로 나가고 있다는 희망이 있다. 수소 저장 운송사업에 참여하는 것은 지역발전의 중요한 키(Key)이기 때문이다. 발전사인 동서발전의 노력과 다양한 에너지 정책을 추진중인 삼척시의 비전에 기대가 크다. 암모니아와 수소를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운송하느냐가 관건이다. 또 강원도에 대해 관광레저로 국한돼 있는 국민들의 인식 전환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관광레저와 친환경에너지가 공존하는 이미지 전환에 걸맞는 에너지산업의 부흥을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