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공중·지상·드론 총동원…‘입체 산불전’ 가동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이재명 대통령 참관 산림항공본부 산불 진화 훈련 현장

◇6일 강원도 원주 산림항공본부에서 산불진화 관·군 합동훈련을 하고 있다. 이날 훈련은 이재명 대통령이 참관했다. 연합뉴스

6일 이재명 대통령이 찾은 강원 원주 산림항공본부 훈련장은 관·군이 함께 꾸린 ‘입체 산불진화 전장’이었다. 다목적 진화차와 드론, 대형 헬기 등 첨단 장비가 총동원돼 공중·지상을 아우르는 훈련이 펼쳐졌고, 이 대통령은 “과잉이라도 조기 대응이 최선”이라며 산불 대응 체계 전면 개선을 주문했다.

다목적 진화차·드론 총동원=공중진화대가 설계에 참여한 다목적 산불진화차는 군용 차량을 개조해 산악지형에서도 진입이 가능하며, 최대 2km 거리까지 진화선을 전개할 수 있다. 고성능 진화차는 3,500리터의 물을 싣고 45도 경사를 오를 수 있다. 이 대통령은 장비 구조를 직접 점검하며 “현장 중심으로 설계된 장비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암벽 화재용 드론은 분말 소화약제를 화점 위로 직접 투하하는 방식으로 진화한다.

“퇴역 시누크, 산불용으로 전환하라”= 군의 대형 헬기 CH-47(시누크)은 밤비 바켓으로 5,000리터를 담수하지만, 기내 탱크를 장착하면 1만리터까지 가능하다. 이 대통령은 “퇴역 이후를 기다리지 말고 우선 개조해 산불용으로 전환하라”고 지시했다. 블랙호크는 3,200리터 담수가 가능한 전용 기체 6대를 운용 중이며, 에어크레인은 47초 만에 8,000리터를 퍼 올린다. 산림청의 KA-32(카모프)는 29대가 주력으로 활동 중이지만 부품 조달이 어렵고, 국산 수리온은 2,000ℓ 담수와 인양 능력을 갖춘 차세대 전력으로 꼽힌다.

“헬기만으론 부족…전문 인력 늘려야”= 이 대통령은 “헬기만으로 불을 끄는 게 아니다. 전문 인력이 지상에서 함께 싸워야 한다”며 산림청과 소방청의 협력체계 정비를 당부했다. 산림청은 공중·지상 전문 인력 539명을 운용 중이며 내년 증원을 검토 중이다.

“아깝다고 생각 말고 전력을 투입하라”= 이 대통령은 “지나친 것이 부족함보다 낫다”며 초기 ‘과잉 대응’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헬기, 차량, 드론이 동시에 움직인 이번 입체 진화 훈련을 지켜본 그는 “조금의 주저함도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며 “현장 중심의 신속 대응 체계를 구축하라”고 말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